![[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41042/art_17290698065832_0fd8f8.jpg)
[서울타임즈뉴스 = 박현규 기자]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감염내과 이효진 교수는 10월 중 접종이 가장 적합하고 늦어도 11월까지는 챙겨야 한다고 16일 조언했다.
그는 독감 예방접종 후 항체가 형성되려면 일반적으로 짧게는 2주, 길게는 4주 걸리기 때문이라고 부연했다. 면역 효과는 평균 6개월 지속한다.
독감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하나가 폐와 상기도를 감염시켜 발병하며 일반 감기와 증상, 원인 바이러스에서 차이가 있다.
일반 감기는 약 200종의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고 매번 유행하는 바이러스가 달라 예방이 어려우나 독감은 특정 바이러스로 발생해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다.
독감에 걸리면 발열, 인후통, 기침, 두통, 근육통, 전신 피로 등이 나타나며 특히 고열과 심한 몸살이 동반된다.
어린이의 경우 잘 먹지 못하고 보채거나 구토, 설사 등 위장관 증상이 나타날 수 있고 드물게 열성 경련도 발생한다.
발열과 몸살 증상은 대개 2∼3일 동반하며 약 1주일 지나면 대부분 증상이 호전되지만 기침은 수주간 지속하기도 한다.
합병증은 폐렴이 가장 흔하다. 소아나 만성 심폐 질환이 있는 노인, 면역 저하 환자 등은 합병증으로 사망하는 경우도 있다.
독감 예방법으로 손 위생, 마스크 착용 등이 있지만 백신 접종도 좋은 방법이다.
국내에서는 매년 겨울철 독감 유행에 대비해 65세 이상 노인, 임신부, 어린이 등에게 4가 백신을 무료 접종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