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 김병주, 국감 출석 대신 도서관 건립 행사 참석 '눈총’

  • 등록 2024.11.06 13:48:34
크게보기

MBK 김병주, 지배구조개선 외쳐놓고...영풍이 모범기업?
2021년 역외 탈세 의혹 논란 일자 개인 이름 딴 도서관 기부

[서울타임즈뉴스 = 박현규 기자] MBK의 고려아연 적대적 기업 인수합병(M&A)로 논란이 확산되는 가운데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이 최근 국회 국감 출석을 뒤로한 채 자신의 이름을 딴 도서관 착공식에 참석해 눈총을 사고 있다.

 

김병주 MBK파트너스 회장은 지난 4일 서울 은평구 북가좌동에서 열린 '김병주도서관' 착공 행사에 참석해 고려아연 인수에 나선 이유에 대해 "지배구조와 주주가치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앞서 김병주 회장은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개인의 기부는 법인과 다르게 세금이 공제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며 자신의 이름을 딴 도서관 건립에 기부를 한 바 있다. 김병주 도서관은 총 건설 비용 675억원이 투입됐다. 이중 김 회장이 약 300억원을 기부하면서 그의 이름을 따서 건설된다.

 

김 회장이 건립 비용 절반을 기부해 도서관에 개인 이름을 새긴 것으로 놓고도 일각에서는 비판의 시선을 보내고 있다. 그가 최근 국가기간산업에 대한 적대적 M&A와 중국 자본 유입, 핵심 기술 유출 우려 등으로 논란이 진행형인 사모펀드 대표라는 점이다. 또 통상적으로 개인이 기부를 하더라도 이름을 따는 경우는 이례적이라는 지적이다.

 

문제는 김 회장의 역외 탈세 논란이 지속된다는 점이다. 지난 2020년 12월 시민단체 금융감시센터는 김 회장을 역외탈세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MBK파트너스가 오렌지라이프(옛 ING생명) 인수ㆍ매각 과정에서 막대한 수익을 올렸는데도 김 회장이 미국 시민권자라는 이유로 과세당국에 개인소득세를 한 푼도 납부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금융감시센터는 김 회장이 국내에서 세금을 납부하지 않은 것은 명백히 탈세에 해당하므로 강력한 처벌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소득세법은 국내 거주자(국내에 주소를 두거나 연 183일 이상의 거소를 둔 개인) 또는 국내원천소득이 있는 비거주자에게 납세 의무를 부과하고 있다. 김 회장의 경우 해외에 주로 거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 회장은 미국 시민권자다. 이에 대해 MBK파트너스는 오렌지라이프 공모와 지분 매각에 따른 소득은 시민단체가 주장한 금액보다 적고, 이중 MBK파트너스가 얻은 소득은 일부에 국한된다고 설명했다.

 

탈세 논란은 진행형이다. 올해 국정감사에서도 MBK의 탈세 여부에 대한 질의가 여러 차례 등장했다. 올해 국정감사에서 백혜련 의원(더불어민주당)은 증인으로 참석한 김광일 MBK 부회장에게 "ING생명(현 신한라이프) 인수했을 때 역외탈세로 400억원 이상 세무 당국에게 추징당한 거 아니냐"고 물었고 김 부회장이 "탈세나 역외탈세로 추징당한 바는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강선우 의원(더불어민주당)은 국정감사에서 "김병주 MBK 회장이 이분 미국 시민권자"라며 "소득세를 전혀 내지 않아서 역외탈세 혐의로 고발을 당하기도 했다. 그러니까 국내에서 돈 벌고 미국에 세금을 낸 거죠 그런 의혹을 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회장이 수장으로 있는 MBK는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내세우며 연달아 적대적 M&A를 시도하는 사모펀드다. 문제는 MBK가 손을 잡은 쪽은 선진 경영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그가 내세운 명분에 힘이 실리지 않는 분위기다. 

 

한편 MBK는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를 내세우며 연달아 적대적 M&A를 시도하는 사모펀드다. 하지만 MBK가 손을 잡은 쪽은 선진 경영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그가 내세운 명분에 힘이 실리지 않는 분위기다. 그동안 김 회장과 MBK는 지난해부터 기업 지배구조를 명분으로 내세우며 적대적 M&A에 나섰다. 하지만 업계에선 그동안 MBK가 인수한 기업의 경우 주주가치와 지배구조 개선과는 거리가 멀다는 지적이 팽배하다.

 

MBK는 여전히 핵심 자산 매각과 인력 구조조정으로 투자 수익을 회수하는 데 골몰했다는 비판도 있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과거 김병주 회장은 투자 원칙으로 대상 기업이 현금을 원활하게 창출하는지, 또 업계에서 선두권 기업인지가 중요하다며 솔직하게 투자 기준을 제시했다"며 "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돌연 지배구조를 앞세우고 있는데, 되레 연달아 논란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현규 기자 hherli123@naver.com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퍼스트경제 / 이메일 box@seoultimes.news / 제호 : 서울타임즈뉴스 / 서울 아53129 등록일 : 2020-6-16 / 발행·편집인 서연옥 / 편집국장 최남주 주소 : 서울시 강동구 고덕로 266 1407호 (고덕역 대명밸리온) 대표전화 : (02) 428-3393 / 팩스번호 : (02) 428-3394.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