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14억 인도시장 공략하라"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설 연휴를 마친 직후 글로벌 경영의 깃발을 치켜들고 나섰다. 신 회장이 새해 글로벌 경영을 위해 선택한 첫번째 무대는 '14억 인구대국' 인도다. 인도는 식품시장 외형이 17조원으로 추정되는 글로벌 황금시장이다. 신 회장이 새해 첫 국제선으로 인도행 비행기를 탄 이유다.
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신 회장은 최근 인도 출장길에 올랐다. '한-인도 비즈니스 서밋'을 계기로 주요 대기업 총수와 함께 뉴델리를 찾은 2016년 이래 9년 만의 인도 방문이다. 이번 신 회장 인도 출장길엔 이영구 롯데그룹 식품군HQ 총괄대표 부회장 겸 롯데웰푸드 대표이사 부회장 등 식품부문 경영진이 함께했다.
신 회장은 롯데웰푸드의 인도 자회사인 롯데인디아의 하리아나 공장을 방문할 것으로 알려졌다. 하리아나 현지공장은 빼빼로 브랜드의 첫번째 해외 생산기지다. 롯데웰푸드는 올 하반기까지 인도 현지 생산을 시작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하리아나 공장의 빼빼로 자동화 생산라인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롯데웰푸드는 해당 공장의 빼빼로 자동화 생산라인에 21억 루피(약 330억원) 규모의 신규 설비 투자를 결정했다. 롯데 빼빼로는 해외 수요도 높아 초코파이에 이어 시장성이 높은 제품으로 인기가 높기 때문이다. 인도는 인구 수를 바탕으로 약 17조원 규모의 제과 시장을 보유하고 있다는 점도 롯데웨푸드가 인도시장에 공을 들이는 이유중 하나다.
롯데웰푸드는 이번 신 회장의 방문으로 빼빼로가 인도 제과 시장에 안착하면 롯데웰푸드가 글로벌 브랜드로 발돋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롯데웰푸드 인도법인 매출은 지난해 2900억원 수준이다. 올핸 3383억원 안팎을 전망하고 있다.
앞서 롯데웰푸드는 지난 2004년 인도 제과업체인 패리스(현 롯데 인디아)를 인수하며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인도 제과 시장에 진출했다. 지난해에는 롯데 인디아와 인도 건과·빙과부문 자회사인 하브모어를 합병한 통합 법인을 설립한 바 있다.
신 회장은 롯데 식품군의 글로벌 시장 진출에 대한 의지를 꾸준히 내비쳤다. 앞서 신 회장은 지난해 9월 폴란드 바르샤바에서 열린 전략회의에서 "매출 1조원을 넘는 다양한 메가 브랜드 육성에 강력한 실행력을 발휘해 달라"며 빼빼로를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