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313/art_17430472975666_49c39e.jpg)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여야 합의로 추진되는 국민연금 개혁안에 대해 반대 의견이 찬성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연령이 낮을수록 국민연금 반대 답변이 많고 연령이 많을 수록 비율이 낮아지는 등 반대 양상을 보였다.
엠브레인퍼블릭ㆍ케이스탯리서치ㆍ코리아리서치ㆍ한국리서치가 지난 24∼26일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고 27일 밝혔다. 조사 결과 정부가 추진하는 연금개혁안에 대해 찬성 의견이 39%, 반대 의견이 46%를 기록하는 등 반대 의견이 다소 높게 집계됐다.
국민연금에 대해 세대별 인식 차이가 뚜렷했다. 40대 이하 연령층에서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차지한 반면 연령대가 높아지면서 ‘반대’ 비율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18∼29세에서 '반대' 응답이 63%로 전체 연령대 가운데 가장 높게 나왔다. 또 30∼39세에선 전체의 절반을 웃도는 58%가 반대 의견을 제시했다. 또 40∼49세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50%, 50∼59세는 45%, 60∼69세는 36%, 70세 이상은 24%로 각각 집계됐다.
NBS 관계자는 "40대 이하에서는 '반대한다'는 응답이 절반을 상회했다“며 ”연령대가 낮을 수록 '반대한다'는 응답이 높은 양상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앞서 국회는 연금 보험료율을 13%로, 소득대체율은 43%로 각각 올리는 연금 개혁안을 여야 합의로 처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