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415/art_17439940878927_8612dc.jpg)
[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지난 2월 6명의 사망자가 발생한 부산 반얀트리 리조트 화재는 소방시설의 미작동과 시공사와 하도급 회사 관계자들의 안전관리 주의의무 위반 행위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7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부산경찰청과 부산고용노동청은 이날 부산경찰청 브리핑룸에서 이와 같은 중간 수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화재는 지난 2월 14일 오전 10시 51분(119 신고 기준)에 발생, 6명이 숨지고 4명이 다쳤다.
당시 현장 건물의 B동 1층 'PT룸'에서 하청업체 소속 작업자가 스테인리스 재질인 직경 37㎝의 배관을 그라인더로 잘라내고 있었다. 이어 그 자리에 밸브가 부착된 배관을 부착하려고 임시 용업인 '가접'과 용접을 최종적으로 마무리하는 '본용접'이 진행됐다. 현장에는 모두 8개의 배관이 있고, 이중 7번째 배관에서 이와 같은 작업을 하던 중에 발생한 불티가 그 뒤편의 천공으로 따라 지하 1층 '수(水)처리실' 상단부에 설치된 배관의 보온재에 떨어졌다.
경찰 조사결과 화재 당일 반얀트리 현장에서는 모두 8개의 업체가 각각 8곳에서 이와 유사한 화기 작업을 진행했다. 그러나 불이 난 곳의 작업을 맡은 하청업체는 화재감시자를 배치하지 않았을뿐 아니라 문제의 천공을 방화포 등으로 덮거나 막지도 않았다. 결국 불이 나면서 연기가 급속도로 확산했고, 엘리베이터를 타고 지상 1층에 도착한 작업자 6명이 한꺼번에 연기에 질식해 숨졌다. 당시 현장에는 화재감지기 등 소방시설 설치가 미흡한 상태였고, 그나마 설치된 소방시설마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경찰과 노동청은 지난 4일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혐의로 삼정기업 박정오 회장과 박상천 대표를 구속했다. 이례적으로 아버지와 아들이 한꺼번에 구속된 것이다. 산업안전보건법 위반과 업무상과실치사 혐의로 삼정기업 소속 현장소장과 하청업체 대표, 현장소장, 작업자 등 4명도 함께 구속했다. 이번에 구속된 6명 외에 모두 15명이 불구속 입건돼 조사받고 있다. 경찰은 소방시설 및 건축물의 사용승인을 받은 건축 현장임에도 불구하고 화재 당일까지 대규모 공사가 진행된 점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고 관할 기장군과 소방서를 상대로 인허가 과정을 집중적으로 수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