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416/art_1744771327396_e9b088.jpg)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수도권 지역내 6억원 이하 아파트가 눈에 띄게 줄고 있다. 집값 부담은 늘어나고, 대출 규제는 강화되면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이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인포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확인한 결과, 서울 6억원 이하 아파트 매매 비중은 2022년 전체 거래의 40.32%를 차지했다. 지난 2024년에는 20.64%로 급감했다. 수도권도 예외는 아니다. 동기간 경기는 78.64%에서 69.39%로, 인천은 90.24%에서 84.48%로 줄었다.
이런 현상은 아파트 매매가격과 분양가 자체가 꾸준히 상승하는데다, 공급 물량은 줄어들면서 6억원 이하 아파트를 찾기가 현실적으로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실제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6억원 이하 매물이 희소해지면서 실거래 건수도 줄고 있는 것이다. 국토교통부와 주택금융공사에 따르면, 올해 1~2월 디딤돌대출의 약 95%는 주택가격 6억원 이하에 집중됐으며, 같은 기간 전체 공급의 95%가 서울 외 지역에 분포됐다. 서울에서 6억원 이하 주택을 찾는 것이 어려워진다는 현실과 맞물린다.
이뿐 아니다. 기준금리는 올 2월 2.75%로 소폭 하락했지만,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여전히 최고 연 4% 후반대에 머무르고 있다. 실수요자 입장에서는 여전히 체감 부담이 높을 수밖에 없다. 오는 7월부터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가 전면 시행될 예정이다. 대출 심사 시 ‘스트레스 금리’를 100% 반영해야 하고, 모든 부채의 원리금이 연 소득 일정 비율을 초과하면 대출 자체가 불가능해진다. 실수요자들에게는 사실상 또 하나의 ‘진입 장벽’이 생기는 셈이다.
부동산 수요자들은 매매 시장 진입이 어려워지자 상대적으로 대출 규제가 덜한 청약 시장으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하지만 분양 물량 자체가 많지 않아 ‘합리적인 새 아파트’를 찾기란 여전히 쉽지 않다. 부동산업계 관계자는 “금리와 규제 영향으로 대출 여력이 줄어들고 있는 반면, 자산 가치 상승에 대한 기대는 여전히 존재한다”며 “다만 수요자들 역시 현명해져서 무조건 저렴한 집보다는 입지, 상품성, 향후 가치까지 고려해 ‘한 채’를 제대로 고르려는 경향이 뚜렷해지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