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 을지로 IBK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조합원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단협 합의 촉구 및 부당대출사태 규탄 결의대회'가 열렸다. [사진=IBK기업은행 노조]](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416/art_17447915815091_90d10b.jpg)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IBK기업은행 노조가 김성태 IBK기업은행장을 비롯한 경영진의 사퇴를 요구하고 나섰다. 부당대출 사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회피와 시간외 수당과 특별성과급 등 임금 및 단체협약(이하 임단협) 결렬 등이 경영진 사퇴를 요구하는 이유다. 이와 관련, 노조는 오는 5월 말 지역별 순환 총파업을 예고한 상태다.
16일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기업은행지부(이하 기업은행 노조)는 서울 을지로 기업은행 본점 앞에서 조합원 15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임단협 합의 촉구 및 부당대출사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김성태 기업은행장과 경영진의 총사퇴를 요구했다.
노조는 김성태 행장과 경영진이 최근 벌어진 '부당대출 사태'와 관련해 가장 큰 책임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쇄신안에서는 행장 본인을 비롯한 경영진이 책임을 묻는 내용이 없다고 지적했다. 류장희 기업은행 노조위원장은 "경영진의 욕심이 낳은 부당대출 사태로 조합원들이 범죄집단으로 낙인찍히고 있다"며 "사태의 진짜 책임자는 경영진이며, 그들은 쇄신의 대상이지 주체가 될 수 없다"고 비판했다.
금융감독원의 조사에 따르면 기업은행 전직 직원은 지난 2017년부터 7년간 배우자인 현직 심사역과 입행 동기 등 총 28명의 전·현직 임직원과 공모해 51건, 총 785억원을 부당대출 받았다. 이들은 허위 증빙 자료를 제출하고, 대출 심사 과정을 조작하는 등의 방법으로 부당대출을 받은 것으로 드러났다. 임직원에게 골프접대, 금품 제공 등의 혐의을 감안하면 총피해액은 882억원에 육박한다.
앞서 김성태 행장은 지난달 26일 부당대출 재발 방지를 위해 △임직원 친인척 DB 구축 △대출 시 확인서 작성 △외부 전문가 중심 감사자문단 운영 등을 담은 쇄신안을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현장에서는 '말단 직원에게 책임을 떠넘기기 위한 미봉책'에 불과하다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김영선 금융노조 위원장은 "대출업무는 정해진 규정에 따라 움직이는 구조인데, 본질은 감정평가 부풀리기와 점수 올리기에 열 올리던 조직문화에 있다"며 "이같은 시스템을 방조해온 경영진이 책임을 지지 않는 것은 조직 윤리를 파괴하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런 가운데 기업은행은 지난해 12월부터 이어진 임금 및 단체협상도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기업은행 노사는 시간외수당 체불과 특별성과급 미지급 등의 문제도 제자리를 맴돌고 있다. 이에 노조는 내달 19일부터 23일까지 일주일간 전국을 순회하는 방식으로 '지역별 순환 총파업'을 단행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기업은행은 지난해 12월 창립 이래 첫 단독 총파업을 벌인 바 있다.
이날 현장에서는 노조가 제시한 10대 혁신 과제도 공개됐다. 경영진 총사퇴를 비롯해 △성과지표(KPI) 및 가산점 폐지 △부당지시자 엄중 처벌 △취급자 면책 제도 도입 △낙하산 인사 근절 △여신심사 독립 부서화 △골프 접대 근절 등 내부 구조 전반에 대한 개혁안을 제시했다.
노조는 또 지난 14일부터 김성태 행장을 포함한 전무, 부행장 등 경영진의 비위 행위 제보를 공식 접수받는 제도를 도입했다. 횡령, 배임, 성비위, 위법 강요, 직장 내 괴롭힘 등이 제보 항목에 포함시켰다. 노조는 비위행위 신고자에겐 최대 1000만원의 포상금을 지급하기로 했다. 노조는 이같은 내용의 ‘경영진 비위 제보 공개 접수 및 포상’에 관한 시행문을 14일 공고했다.
이날 집회에는 정치권도 함께했다. 정태호,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신장식, 차규근 조국혁신당 의원, 한창민 사회민주당 의원 등 국회의원들이 참석했다. 박 의원은 "지난 3월 말까지 임단협을 마무리하라고 했지만 아무런 진척이 없다"며 "금융사고를 막겠다며 친인척 DB를 만든다는 것은 번지수를 잘못 짚은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기업은행 측은 이와 관련, "외부 전문가 위주로 구성된 'IBK쇄신위원회'를 통해 업무프로세스, 내부통제, 조직문화 등 전반의 쇄신 계획 적정성과 이행실적을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점검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이어 "오래된 관행이나 프로세스를 개선하고, 조직문화 부문에서도 끼리끼리 문화 등 바람직하지 않은 부분을 바꿔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