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정부의 고강도 대출 규제 발표 뒤 서울 아파트값의 상승세가 다소 둔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강남권과 한강변 등 주요 고가 지역에서 상승폭이 줄어들면서 과열 양상이 진정되는 분위기다. 하지만 양천·영등포 등 일부 지역은 여전히 오름세를 보는 곳도 있어 주목된다.
3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6월 다섯째 주(6월 30일 기준)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주대비 0.40% 상승해 22주 연속 상승를 이어갔다. 그러나 전주 상승률(0.43%)보다는 0.03%포인트 줄어들며 속도 조절 양상을 보였다.
특히 고가 주택 밀집 지역인 강남 4구의 상승세 둔화가 뚜렷했다. 강남구(0.84%→0.73%), 서초구(0.77%→0.65%), 송파구(0.88%→0.75%), 강동구(0.74%→0.62%) 모두 상승폭이 축소됐다.한강변 선호지역인 용산구(0.74%→0.58%), 성동구(0.99%→0.89%), 마포구(0.98%→0.85%)도 같은 흐름을 나타냈다.
한국부동산원은 “재건축 추진 단지 등 주요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세가 이어졌지만, 선호지역 내 매수 문의가 눈에 띄게 줄어들며 전체 상승폭이 둔화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은 변화는 새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의 영향이 일부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앞서 정부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에 맞춰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원으로 제한하는 내용의 고강도 규제 대책을 내놨다. 이런 가운데 양천구(0.60%)와 영등포구(0.66%) 등 일부 지역은 가격이 여전히 상승세를 기록하는 등 지역별 온도차가 발생했다. 양천구는 2019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폭을, 영등포구는 관련 통계가 집계된 2013년 이래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수도권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경기 과천(0.98%)과 성남 분당(1.17%)이 각각 2018년 이후 최대 상승폭을 보이며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인천은 –0.02%로 하락했다. 지방 아파트값도 하락세다. 전국 기준으로 0.22% 하락하며 57주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5대 광역시는 0.04%, 8개도는 0.01% 하락했다.
전세 시장은 완만한 상승세를 기록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이 0.02% 상승하며 전주와 비슷한 곡선을 그렸다. 서울은 0.07% 올라 상승폭이 소폭 줄어든 반면 수도권은 0.05%로 전주보다 확대되는 등 반대 상황을 보였다. 지방 전세도 1주일새 –0.01% 하락한 것으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