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텔레콤(CEO 정재헌)이 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를 통해 AI 인프라 구축 로드맵을 공개하며, 국내를 넘어 글로벌 시장까지 아우르는 국가대표 AI 사업자로서의 전략을 밝혔다. 정 CEO는 이날 키노트 연설에서 울산 AI DC 확장, 에너지 특화 AI DC 솔루션 해외 진출,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한 에지 AI 및 제조 AI 클라우드 구축, AI DC 종합 사업자 도약 등 ‘AI Infra의 Now & Next’ 전략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SKT는 수도권, 경남, 서남권까지 주요 거점 AI 데이터센터(AI DC)를 확보하고 확장을 가속화한다. 울산 AI DC는 총 1GW 이상 규모로 확장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투자 유치와 아시아 최대 AI 허브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지난 10월 SK그룹과 OpenAI의 MOU를 기반으로 서남권 AI DC 설립도 추진 중이다. 정부·지자체·글로벌 AI 선도 기업과의 다자간 협력을 성사시킨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평가된다. 정 CEO는 “울산 AI DC 공개 이후 글로벌 기업들이 SKT의 AI DC 개발 역량에 주목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을 아시아 AI 인프라 허브로 도약시키겠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확장 전략도 구체화했다. SKT는 SK그룹 관계사와 함께 동남아시아 시장 진출을 본격화하며, SK이노베이션과 협력해 베트남 LNG 발전소 기반 AI DC를 구축하고 냉열 에너지를 데이터센터 냉각에 활용할 계획이다. 향후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등으로 확장해 독자 기술을 집약한 글로벌 AI DC 구축을 추진한다.
정 CEO는 AI 서비스 확산에 따른 통신 인프라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AWS와 협력해 에지 AI 구현을 가속화하고 엔비디아, 정부, 학계와 AI-RAN(지능형 기지국) 기술 공동연구 및 실증 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에지 AI는 데이터를 클라우드가 아닌 기지국과 에지 서버에서 처리해 초저지연·보안·네트워크 효율을 높이는 기술로, AI-RAN과 함께 제조 AI 확산의 핵심 인프라로 평가된다.
SKT는 엔비디아 RTX PRO 6000 GPU 2,000여 장을 도입해 제조 AI 클라우드를 구축, SK그룹 주요 제조사의 디지털 트윈, 로봇 AI 등 제조 현장 혁신을 지원한다. 정 CEO는 “제조 AI 클라우드는 제조 AI 기반 혁신을 촉진하는 핵심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SKT는 AI DC 설계·구축·운영을 총괄하는 ‘AI DC 종합 사업자’로 도약하며, 비용 효율적 구축이 가능한 AI DC 솔루션 패키지를 제품화할 계획이다. Out-rack, In-rack, Clustering, Energy 솔루션 등 핵심 기술을 내재화해 글로벌 시장 확장과 AI 인프라 표준화를 추진한다.
지난 1년간 SKT는 울산 AI DC 구축, 국내 최대 GPU 클러스터 ‘해인’ 구축,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 선정, AI 서비스 가입자 1천만 돌파 등 성과를 달성하며 AI 경쟁력 강화에 박차를 가했다. 정재헌 CEO는 “AI 인프라는 기업과 국가 경쟁력의 핵심 동력”이라며 “SKT는 대한민국 대표 AI 사업자로서 정부와 함께 AI G3 도약을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