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뚜렷한 이유 없이 어깨에 극심한 통증이 지속되면 오십견이 발생한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사람들이 많다. 주로 50세 전후로 발병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이 질환은 ‘어깨가 얼어붙었다’라는 의미의 동결견이라는 이름도 갖고 있다.
오십견의 발병 원인으로는 운동 부족 및 염증, 어깨 관절의 장기간 고정 등으로 인한 관절 유착 등이 있다. 이외에도 가볍게 생긴 어깨통증이 제대로 회복되지 못해 오십견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최근에는 운동 부족 및 생활습관 변화 등으로 인해 오십견 환자의 평균 연령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라.
오십견은 남성 환자에 비해서 여성 환자가 더 많은 편이다. 또한 당뇨병 환자는 오십견 발생률이 약 40%까지 증가할 수 있으므로 더 주의해야 한다. 오십견이 발생하면 어깨에 통증과 함께 어깨 관절의 능동적, 수동적 움직임에 제한이 생긴다. 통증으로 인해 어깨와 팔을 제대로 움직이지 못해 해당 부위의 근력이 점차 약화되는 경우도 많다. 질환이 만성으로 진행되면 증상이 1~2년 이상 지속되기도 하므로 가급적 빠르게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권장된다.
오십견 초기 환자는 물리치료 및 운동요법, 주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여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오십견치료 시에는 관절에 유착된 조직과 근육을 풀어주어야 하며, 어깨 관절의 가동 범위를 최대한으로 늘리는 것이 중요하다. 만약 이러한 비수술적 치료로도 효과가 나타나지 않거나, 중증 증상이 있을 시에는 유착된 관절 부위를 박리하는 등의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오십견은 회복 후에도 재발 위험이 있으므로 꾸준하게 관리해야 한다. 평소에 스트레칭을 자주 하고,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근력 강화 운동을 하는 것이 질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잠실 선수촌병원 김홍겸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