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세사랑병원 “무릎 ‘뚝’ 소리 지속된다면 반월상연골판 파열 의심...인공관절 통한 조기 진단 중요”

  • 등록 2025.09.12 10:59:43
크게보기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무릎에서 ‘뚝’ 소리가 나며 꺾이거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반월상연골판 파열’을 의심해야 한다. 반월상연골판은 대퇴골과 경골 사이에 위치한 반달 모양의 연골로, 무릎 관절의 충격을 흡수하고 안정적인 움직임을 돕는 중요한 구조물이다.

 

연세사랑병원 고용곤 병원장은 “반월상연골판은 무릎의 주요 완충 장치 역할을 하기 때문에 한번 파열되면 자연 치유가 어렵다”며 “특히 중년 이후에는 퇴행성 변화로 연골판이 약해져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해당 질환은 운동 중 발생하는 급성 손상뿐 아니라,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퇴행성 변화에 의해 생기는 경우도 많다. 주요 증상으로는 무릎 통증, 붓기, 움직일 때 관절이 걸리는 느낌, 특정 각도에서 무릎이 잠기는 ‘잠김 현상’, 보행 중 무릎이 갑자기 꺾이는 등의 불편함이 있다.

 

반월상연골판 파열의 치료법은 손상의 범위와 환자의 연령, 활동 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경미한 경우에는 약물이나 물리치료 등 보존적 치료로 호전될 수 있으나, 반복적인 증상이나 파열 부위가 큰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활용한 수술이 필요하다. 관절내시경 수술은 최소 절개로 진행되며, 회복이 빠르고 일상 복귀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연골판을 최대한 보존하려는 치료 기조가 강조되고 있다. 고 병원장은 “젊거나 활동량이 많은 환자의 경우, 파열된 연골판을 제거하기보다는 봉합해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관절 건강에 더 유리하다”고 조언했다. 이어 “무릎 통증이 반복되는데도 방치하거나 단순한 염좌로 오인하면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며 “반월상연골판은 무릎 관절염 예방에도 매우 중요한 구조물인 만큼, 정형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맞춤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최남주 기자 calltaxi@seoultimes.news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





(주)퍼스트경제 / 이메일 box@seoultimes.news / 제호 : 서울타임즈뉴스 / 서울 아53129 등록일 : 2020-6-16 / 발행·편집인 서연옥 / 편집국장 최남주 주소 : 서울시 강동구 고덕로 266 1407호 (고덕역 대명밸리온) 대표전화 : (02) 428-3393 / 팩스번호 : (02) 428-3394. Copyright @서울타임즈뉴스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