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올해 새 아파트 입주물량이 최근 10년새 최저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2022년 시작된 불황으로 분양이 줄어든 여파다. 특히 부산과 세종, 광주는 2022년 대비 절반에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R114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아파트 입주 물량은 총 287,432가구로 예정됐다. 336,199가구가 입주한 2022년대비 약 15%에 달하는 48,767가구가 줄어든 수치다. 2022년부터 부동산 시장이 주춤하면서 새 아파트 분양이 줄어들기 시작한 것이 올해 입주 가뭄으로 이어진 것이다.
시도 별로 보면 총 7개 지역에서 입주 물량이 감소한다. 광주는 2022년 13,716가구에서 올해 4,820가구로 약 65%가 감소할 예정이다.부산은 같은 기간 27,077가구에서 11,418가구로 58%가 감소한다. 세종도 3,793가구에서 1,840가구로 51% 감소 예정이다. 50% 이상의 감소율을 기록한 곳은 이들 세 지역 뿐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경기(-39,813가구)와 인천(-20,477가구)이 가장 많이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부산은 15,659가구가 줄어들어 가구 수 기준 감소 순위에서도 상위 3개 순위에 이름을 올렸다. 제주는 132가구에서 1,493가구로 10배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경남과 경북도 각각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가구 수 기준으로는 18,960가구가 증가하는 서울의 증가세가 가장 두드러진다.
부동산업계 전문가들은 전국적 입주 가뭄이 앞으로도 2~3년 이상 이어질 것으로 내다본다. 2022년부터 올해까지도 이어지고 있는 분양물량 감소를 고려하면 입주물량도 수년째 큰 폭으로 줄어들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수도권에서 가장 많은 인구가 거주하는 경기와 지방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부산의 물량 감소는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업계 다른 전문가는 “부동산 침체의 영향이 아직 이어지고 있다곤 하지만 아파트 매매량은 2022년 이후 전국 거의 모든 지역에서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주택 수요층이 충분히 움직이고 있음을 의미한다”며 “이처럼 수요가 충분한데 새 아파트 입주는 올해부터 수년간 기록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보여 당분간 새 아파트 품귀 현상이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