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729/art_17526746206675_c08b05.jpg?iqs=0.6372079075623884)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17일 운명의 날이 밝았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에 대한 대법원의 선고가 곧 내려진다. 대법원 선고를 앞두고 이날 오전부터 삼성그룹 안팎은 긴장감에 휩싸였다. 앞서 이 회장의 ‘부당합병·회계부정’ 혐의가 1심과 2심 모두 무죄를 선고받았다.
재계에선 1,2심에 이어 3심도 비슷한 판결을 기대하고 있다. 그동안 국정농단 사건으로 시작된 이 회장의 사법 리스크는 벌써 10년째 이어지고 있다. 이때문에 이 회장은 10년동안 사법 리스크에 시달렸다. 이번 대법원 선고가 이 회장의 '10년 족쇄'를 끊어낼 수 있을지 주목된다.
◆삼성, M&A·미래사업 발목 잡힌 10년…사법 리스크 해소될까=대법원 3부(주심 오석준 대법관)는 이날 이 회장의 상고심에 대한 최종 판단을 내린다. 앞서 이 회장은 2015년 제일모직과 삼성물산 합병 과정에서 미래전략실 주도로 경영권 승계를 유리하게 하기 위한 부정거래와 시세조종, 회계부정 등에 관여한 혐의로 2020년 기소됐다.
1심과 2심 재판부는 “합병 및 회계처리가 위법하지 않았다”며 혐의 전부에 대해 무죄를 선고했다. 그러나 검찰은 항소심 직후 대법원 판단을 받겠다며 상고를 결정했다. 재계 일각에선 1심과 2심에서 무죄를 선고 받은 만큼 이번 대법원 선고에 대해서도 비슷한 판결이 내려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재계는 이번 대법원 판결이 이 회장 개인을 넘어 삼성의 중장기 전략에도 중대한 분기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사법 족쇄가 해소되면 삼성전자의 발목을 잡고 있던 M&A와 신사업 투자 등 경영활동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는 기대감도 높다.
삼성은 2017년 9조3000억원 규모의 하만 인수 이후 8년 가까이 대형 M&A에 나서지 못했다. 이 회장의 재판 리스크가 과감한 의사결정을 제약해왔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2심 무죄 이후 삼성은 다시 ‘빅딜’에 시동을 걸고 있다. 하만은 지난 4월 미국 마시모의 오디오 사업부를 5000억원에, 삼성전자는 5월 독일 공조기업 플랙트를 약 2조4000억원에 인수했다. 이어 디지털 헬스케어 기업 젤스 인수도 발표하며 변화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총수 역할’ 되찾는 이재용, 반도체·AI 재도약 과제=이 회장 역시 무죄 선고 이후 본격적인 경영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2월 2심 판결 직후 그는 샘 올트먼 오픈AI CEO,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 등 글로벌 IT 거물들과 연이어 회동했다.
최근엔 미국 선밸리 콘퍼런스에 참석해 AI·신사업 협력 가능성을 타진했다. 중국과 일본을 오가는 글로벌 행보도 강화했다. 하지만 이 회장이 ‘경영 정상화’ 선언을 하기 위해서는 아직 넘어야 할 산이 많다. 무엇보다 그룹의 핵심 축인 삼성전자 반도체 부문은 실적 악화와 기술력 논란으로 고전 중이다.
삼성전자는 최근 발표한 2분기 잠정실적에서 5조원 이하의 영업이익을 기록, 6개 분기 만에 다시 5조원대가 무너졌다. 전문가들은 이 회장이 사법 리스크에서 벗어난다면, 반도체 부문에 대한 대대적인 조직개편과 전략 수립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글로벌 반도체 업계가 M&A와 전략적 제휴를 통해 AI 반도체 경쟁력 확보에 나서는 가운데, 삼성의 대응은 상대적으로 소극적이었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 회장이 과감한 투자를 단행하지 않으면 인공지능(AI) 시대에서의 삼성의 입지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뉴 삼성' 기대감…인사·조직 쇄신 신호탄 될까=재계 일각에서는 이번 대법원 판결이 ‘뉴 삼성’ 출범의 기폭제가 될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지난해 ‘돌려막기식 인사’라는 비판을 받은 정기인사 이후, 대대적인 리더십 쇄신과 글로벌 인재 영입을 통해 체질을 바꾸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는 “대법원의 판결 결과를 예단하긴 어렵지만, 총수의 사법 리스크 해소는 경영 안정성과 신사업 추진에 분명한 긍정적 신호”라며 “조직 쇄신이나 전략 전환 여부는 시장 상황과 사업 여건을 고려해 결정될 것”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