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1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메뉴

국내 은행, 상반기 순이익 14.9조원 사상 최대...비이자이익 효과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당기순이익 14.9조원
외환·파생상품, 유가증권 관련 이익 크게 늘어
ELS 기저효과와 환율·금리 하락 비이자이익 증가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들이 사상 최대 규모의 순이익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이 21일 발표한 ‘2025년 상반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에 따르면, 국내은행의 당기순이익은 14조9000억 원으로 집계돼 지난해 같은 기간(12조6000억 원)보다 18.4%(2조3000억 원) 늘었다. 반기 기준으로는 역대 최대 실적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이자이익은 29조7000억 원으로 전년 동기(29조8000억 원)보다 소폭 줄었다. 이자수익자산은 4.7% 증가했지만, 순이자마진(NIM)이 0.09%p 하락한 탓이다. 반면, 비이자이익은 5조2000억 원으로 무려 53.1%(1조8000억 원) 급증했다. 올해 상반기 환율·금리 하락으로 외환·파생상품 이익(1조9000억 원)과 유가증권 관련 이익(8000억 원)이 크게 늘어난 결과다.

 

영업외손익도 개선됐다. 홍콩 H지수 연계 ELS 배상금 비용 등으로 지난해 상반기 1조4000억 원 손실을 기록했으나, 올해는 1조5000억 원 흑자로 전환해 2조9000억 원이 늘었다. 다만 비용 증가 부담도 나타났다. 판매·관리비는 인건비와 물가 상승 영향으로 13조70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8000억 원 늘었다. 또한, 경기 둔화 여파로 대손비용이 3조2000억 원으로 6000억 원 증가했다. 원화대출 연체율 상승 등 신용위험 확대가 주요 요인으로 꼽힙다.

 

은행별로는 시중은행 순익이 8조4000억 원으로 1조7000억 원 늘었고, 특수은행도 5조4000억 원으로 6000억 원 증가했다. 인터넷은행 순익은 4000억 원으로 1000억 원 늘었으나, 지방은행은 6000억 원으로 1000억 원 줄었다. 수익성 지표도 개선됐다.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75%로 0.08%p 상승했고, 자기자본순이익률(ROE) 역시 10.18%로 1.08%p 높아졌다.

 

금감원은 “ELS 기저효과와 환율·금리 하락에 따른 비이자이익 증가로 실적이 개선됐다”면서도 “경기둔화로 중소기업·개인사업자 등 취약부문을 중심으로 대손비용 확대 가능성이 있어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도하겠다”고 밝혔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