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4 (토)

  • 구름많음동두천 25.2℃
  • 흐림강릉 24.7℃
  • 구름많음서울 26.1℃
  • 흐림대전 26.5℃
  • 구름조금대구 26.7℃
  • 맑음울산 26.5℃
  • 구름조금광주 27.0℃
  • 맑음부산 27.6℃
  • 맑음고창 24.6℃
  • 맑음제주 27.2℃
  • 구름조금강화 24.9℃
  • 구름많음보은 24.2℃
  • 흐림금산 24.6℃
  • 맑음강진군 25.0℃
  • 맑음경주시 25.5℃
  • 맑음거제 25.2℃
기상청 제공
메뉴

수도권 평일 인구이동 총 7135만 건… 서울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개방

  • 수도권 인구이동, 장소‧시간‧목적별 20분 단위 집계… 지역포괄데이터 개발·상시공개 최초 사례
  • 통계청, 경기도·인천시, 수도권 3개 연구원, KT와 협력해 수도권 내‧외부 모든 이동 집계·분석

 

 

평일 하루 수도권을 오가는 인구이동은 총 7천 1백만여 건에 달하고, 서울에서 수도권으로 출근하는 시민은 평균 59.4분, 반대로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시민들은 평균 71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출근‧병원‧쇼핑 등 일상과 관련된 평균 이동시간은 서울은 37분 내외, 경기와 인천은 각각 40분, 41분 내외였다.

 

서울시는 실시간 수집한 방대한 통신‧공공 빅데이터를 융합해 수도권 거주자의 모든 이동을 20분 단위로 집계‧분석 할 수 있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개발했다고 28일(화) 밝혔다. 지역(경기, 인천)을 포괄한 데이터를 개발해 상시적으로 공개하는 것은 세계 유례없는 시도다.

 

이번에 공개하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와 통계청, ㈜KT, 수도권 3개 연구원의 기술·인프라 협력을 통해 탄생한 결과물로, 출퇴근‧등하교 등 정기적인 이동은 물론 쇼핑‧관광‧병원 방문 등 행정수요를 유발하는 모든 이동을 포함하고 있다. 공간적으로도 서울과 수도권은 물론 전국에서 오가는 모든 이동인구가 대상이다.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통해 서울과 수도권 간 광역교통계획, 도시계획, 생활문화 시설 후보지 선정 등 시민이 체감가능한 데이터 분석 기초 데이터를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또한 이동 목적을 출근‧등교‧귀가는 물론 병원‧쇼핑‧관광 등 생활 밀접분야로 세분해 교통, 주거정책 외에도 관광, 상권 활성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다는 것도 장점이다. 현재 인구이동 관련 정부 통계는 시·군·구 등 광범위한 공간을 대상으로 1~5년 간격으로 발표하고 있다. 반면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는 시공간 단위로 세밀한 분석이 가능해 ‘시의성’과 ‘적시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특히 교통 편의성 향상과 정주여건 개선 등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과 행복에 직결되는 정책개발에 획기적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데이터는 대중교통 이용 및 인구‧사업체 센서스 등 공공빅데이터와 KT의 휴대전화 LTE+5G 시그널 데이터를 수도권 4만 1천여 개 구역에 반영해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된다. 수도권 전역의 읍면동이 1,182개 전국 읍면동수 3,558개/수도권 읍면동수 1,182개: 서울(426개), 경기(600개), 인천(156개)인 것을 감안 하면 훨씬 세밀한 분석이 가능하며 활용 목적에 따라 500m·1㎞·5㎞ 등 유연하게 조합할 수도 있다.

 

또한 서울·경기·인천 시도 내는 물론 시도 간 모든 이동을 분석할 수 있다. ▴이동주체가(내·외국인) ▴언제(시간대별) ▴어디에서(출발지) ▴어디로(도착지) ▴어떻게(이동수단) ▴왜(이동목적) 이동했는지를 자세하게 보여주므로 이동인구 건수는 물론 소요시간 및 거리, 이동 밀집 시간, 이동인구의 성·연령대 등도 분석 가능하다.

 

한편 이번에 개발한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에 따르면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이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은 평일 기준 하루 7,135만 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도가 출발 또는 도착지가 되는 이동이 51%(3,620만 건)로 절반 이상이었고 다음이 서울 38%(2,730만 건), 인천 10%(730만 건), 기타 1%(55만 건) 순이었다.

 

서울에서 수도권 출근시 평균 소요시간은 59.4분, 반대로 수도권에서 서울로 출근하는 경우는 평균 71.0분으로 약 1.2배 긴 시간이 소요됐다. 서울시는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광역도시계획, 신도시 수요예측 등 도시개발과 교통인프라·버스노선 최적화 등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되는 정책에 적극 활용 계획이다. 또한 행정·생활시설 재배치, 상권 활성화 등에도 적용, 직·주·락(職·住·樂) 도시 실현도 앞당길 계획이다.

 

우선, 광역도시계획 수립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금번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 분석 결과, 단순 행정 경계가 아닌 본인의 현위치를 중심으로 한 거리를 기준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를 수도권 내 권역별 생활권 정책수립에 적용한다는 계획이다. 데이터를 기반으로 생활권 내 병원, 학교, 쇼핑몰 등 생활 인프라를 재배치하고 교통 시설 재정비, 거점별 행정수요 집중‧분산을 통해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고 균형발전도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실제로 이동패턴과 이동량 등의 데이터를 분석했더니 수도권은 총 7개 권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박진영 서울시 디지털정책관은 “수도권 생활이동 데이터를 민선 8기 정책기조에 맞춰 서울은 물론 경기, 인천까지 포함한 수도권 전체 시민 삶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할 과학적 결과물이다”라고 평가했다. 또한, “데이터 활용을 위해 네거티브 규제방식(원칙적 개방, 예외적 비공개)을 정착시키는 것이 시의 책무”라고 강조하며, “누구나 자유롭게 활용 가능한 공공분야 빅데이터로 시민 삶의 질과 직결된 연구, 창업, 경제활동 등이 민간·학계에서 활발히 진행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