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2 (화)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메뉴

SK에코플랜트, 매출 부풀리기 의혹…금융당국 “회계조작” 판단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에코플랜트가 곤경에 빠졌다. SK에코플랜트(대표 김형근)가 미국 자회사의 매출을 부풀려 기업가치를 인위적으로 높였다는 의혹으로 금융당국의 중징계 가능성에 직면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이 회계처리 위반을 ‘고의’로 판단하며 검찰 고발과 전직 대표이사 해임, 수십억원의 과징금 부과 등을 금융위원회에 요청한 상태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산하 회계전문 자문기구인 감리위원회는 SK에코플랜트의 회계감리 결과에 대한 2차 심의를 24일 개최할 예정이다. 지난주 열린 1차 회의에서는 결론이 나지 않았다. 문제가 된 회계 연도는 2022년부터 2023년까지다.

 

금감원은 SK에코플랜트가 미국 자회사 A사의 매출과 영업이익을 과대 계상하는 방식으로 연결재무제표를 허위 작성·공시했다고 판단했다. 특히 기업공개(IPO)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회사 실적을 부풀려 밸류에이션을 높이려 한 동기가 있었다는 게 금감원의 생각이다.

 

이러한 회계 위반 행위의 동기가 ‘고의’로 결론 날 경우, 형사 고발과 임원 해임 등 강도 높은 조치가 불가피한 상황이다. 실제로 금감원은 해당 안건을 ‘고의 분식회계’로 판단하고, 이에 따른 징계를 원안대로 금융위원회에 상정한 상태다.

 

SK에코플랜트 측은 “미국 자회사의 회계는 현지 회계법인의 검토를 거쳐 처리한 것이며, 해당 회계처리는 IPO와는 관련이 없다”고 해명했다. 또 “금융당국에 사실관계를 성실히 소명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금융당국은 이번 사안을 자본시장 질서 확립의 시험대로 보고 있다. 금융위는 이달 초 주가조작 등 불공정거래에 대한 제재를 강화하겠다는 방침을 밝히며, 회계분식에 대해서도 “패가망신 수준의 과징금”을 예고한 바 있다.

 

SK에코플랜트는 앞서 2022년 약 1조원 규모의 프리IPO(상장 전 투자유치)를 진행하며 2026년까지 IPO를 완료하겠다고 투자자들과 약속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번 회계조작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IPO 일정 자체가 지연되거나 무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실정이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