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지난 6월 카드론 잔액이 소폭 감소했다. 카드론이 줄어들기는 3개월만이다. 카드론 감소 이유는 분기 말 부실채권 상각 영향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7월부터 시행된 강화된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로 카드론 수요가 더욱 위축될 것으로 전망된다.
21일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신한·삼성·현대·KB국민·롯데·하나·우리·BC카드·NH농협 등 9개 전업 카드사의 6월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42조5148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42조6571억원보다 1423억원 감소한 금액이다. 카드론 잔액은 지난 3월 42조3720억원에서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6월 들어선 다시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업계 일각에선 정부가 6·27 부동산 대책을 통해 가계부채 규제를 강화하면서 6월에 ‘막차 수요’가 몰릴 것으로 전망했다. 하지만 실제론 카드사들의 건전성 관리가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카드업계 한 관계자는 “분기 말 부실채권에 대한 대손상각이 이뤄졌고, 저신용자를 중심으로 한 제한적인 수요만 발생했다”며 “결과적으로 대출 급증 없이 잔액이 감소한 셈”이라고 설명했다.
현금서비스와 리볼빙 잔액 등 기타 신용대출성 상품도 일제히 감소세를 보였다. 6월 말 현금서비스 잔액은 6조311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보다 1296억원 줄어든 금액이다. 결제성 리볼빙 이월잔액은 6조8111억원으로 전월 6조8493억원을 밑돌았다. 대환대출 잔액도 1조4284억원으로 한달새 478억원가량 감소했다.
문제는 7월부터 시행된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가 카드론 수요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3단계 스트레스 DSR 규제는 카드론을 포함한 모든 신용대출의 한도를 연소득의 100%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중·저신용자와 고금리 대출 이용자들의 자금 확보는 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올해 하반기에는 대출 규제가 더욱 강화되면서 카드사들도 대출 심사를 보수적으로 운영할 수 밖에 없다”며 “실수요 중심의 대출만 제한적으로 유지되는 구조로 재편될 가능성이 높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