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인성 관절 질환 중에서 대표로 손꼽히는 것이 바로 무릎관절염이다. 무릎관절염은 무릎뼈 끝에 자리해 뼈를 보호하고 있는 뼈연골이 점차 닳으면서 뼈끼리의 충돌을 유발하는 질환이다.
이로 인해 무릎에 극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질환이 진행될수록 반복적인 충돌로 인해 뼈가 점점 깎여나가거나 다리 모양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무릎관절염 초기의 환자는 약물복용 및 물리치료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그렇지만 무릎관절염 환자들은 질환 발생을 노화로 인한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생각하고 치료를 하지 않은 채 계속 방치하다가 증상이 악화된 후에야 병원을 찾는 경우도 적지 않다. 그러므로 무릎에 통증 및 부종과 같은 이상 증세가 반복된다면 가급적 빠르게 병원을 찾아 정확하게 검사를 받는 것이 권장된다.
무릎관절염 초,중기의 환자는 주사요법 중 하나인 자가골수 줄기세포 주사 치료(BMAC)도 적용할 수 있다. 이 주사 치료는 환자의 장골능에서 채취한 자가 골수를 원심 분리하고 농축된 골수 줄기세포를 무릎 관절강내 주사하는 것으로, 주사 치료만으로 뼈연골 조직의 재생 도모가 가능하다. 마취나 절개 없이 진행되며, 환자 본인의 골수를 이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거부 반응에 대한 걱정도 크게 필요하지 않다.
치료시기를 놓쳐 뼈연골의 손상이 심해졌다면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는 회복이 어렵고, 뼈연골 조직을 재생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뼈연골의 대부분이 손실되어 뼈에도 손상이 생긴 무릎관절염 말기의 환자는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도 고려할 수 있다.
무릎 인공관절술은 뼈 끝에 남아있는 뼈연골을 모두 제거한 후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방식이다. 무릎 인공관절술 후에는 환자의 회복 정도에 따른 체계적인 재활 과정을 반드시 거쳐야 한다. 재활을 통해 무릎 관절의 강직을 예방하고 가동 범위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보행 능력 회복을 위한 다리 근력 강화 과정도 필요하며, 무릎 관절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발목 및 허리에 재활치료를 병행하는 것도 호전에 도움이 된다.
< 잠실 선수촌병원 김상범 원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