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프린스 뱅크. [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1043/art_17609560041027_c125bd.jpg?iqs=0.42581931159041697)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프린스그룹이 캄보디아에서 인신매매·감금·온라인 금융사기 등의 배후로 지목돼 미국과 영국의 제재를 받는 가운데 프린스그룹 자금 912억원이 국내 금융사 현지 법인 계좌에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된다. 금융당국은 이와 관련, 금융거래 제한 및 추가 제재를 검토중이다.
20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강민국 국민의힘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KB국민·전북·신한·우리·iM뱅크 등 국내 5개 은행의 캄보디아 현지법인이 프린스그룹과 총 52건, 약 1970억원 규모의 거래를 진행했다. 이중 아직 912억 원이 계좌에 예치됐고 현재 이들 계좌는 모두 거래중지된 상태다.
은행별로 보면 국민은행이 566억5900만원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어 전북은행 268억5000만원, 우리은행 70억2100만원, 신한은행 6억4500만원 순이다. 전북은행은 총 47건, 약 1216억원의 정기예금 거래를 진행하는 등 거래 규모가 가장 컸다. 국내 은행들은 미국과 영국 정부가 프린스그룹과 천즈 회장을 국제 제재 대상으로 지정한 직후 해당 자산을 동결했다. 국제 자금세탁방지(AML) 협약에 따라 제재 대상 자금은 입출금이 제한된다.
프린스그룹은 부동산·금융 등 캄보디아 주요 산업 전반을 장악한 대형 재벌이다. 국제사회는 최근 이들이 불법 사기센터 운영과 외국인 감금·강제노동 등 중대 범죄를 주도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미국 재무부는 지난 14일(현지시간) 프린스그룹 관련 146건의 자산을 제재했고, 영국 정부도 제재에 동참했다.
국내 금융당국도 대응에 나섰다. 금융위원회 산하 금융정보분석원(FIU)은 이달중 프린스그룹 관련 인물들을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거래 제한 대상자’로 지정될 경우 금융·부동산·채권 등 자산 거래는 금융위 허가 없이는 불가능하다.
강민국 의원은 “국제 범죄조직의 불법 자금이 국내 금융망을 통해 순환한 것은 매우 심각한 사안”이라며 “금융당국은 캄보디아 정부와 공조해 자금 동결 및 회수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금융당국 한 관계자는 “해당 자금이 범죄 수익으로 연계된 정황이 확인되면 즉시 추가 제재에 착수할 것”이라며 “FIU 중심으로 국제 공조를 통해 자금 추적과 동결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