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새마을금고중앙회가 금고의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 재발을 막기 위해 검사종합시스템 고도화에 본격 착수했다. 2020년 내부통제 강화를 목표로 시스템을 처음 도입한 이후 5년 만의 전면 개편으로, 전국 1,262개 금고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검사·감독 체계를 디지털 기반으로 혁신하겠다는 전략이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인공지능 전환(AX) 전문기업 LG CNS와 협력해 이달 17일부터 검사종합시스템 재구축 프로젝트를 시작했다고 27일 밝혔다. 총 100억 원이 투입되는 이번 프로젝트는 2027년 2월 완공을 목표로 진행된다.
새마을금고는 지난해 경기침체로 건전성이 악화되며 전례 없는 인출 사태를 겪었다. 당시 행정안전부 주도로 구성된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원회는 상시 감독 체계를 강화해 위험 요인을 조기에 차단해야 한다는 개선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이에 중앙회는 PwC컨설팅을 통해 검사체계 개편 방향을 정립했고, △빅데이터 기반 검사 및 내부통제 고도화 △금고 단위 위험 선제 관리 체계 구축 △업무지원 시스템 인프라 개선 등을 핵심 목표로 설정했다.
이번 시스템 고도화의 핵심은 빅데이터 분석 기반의 위험평가 모델 개발이다. 이를 통해 금고별 금융사고 가능성을 사전에 탐지하고, 실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더불어 검사·감독 업무 전반을 디지털화해 업무 효율성과 생산성을 크게 높일 예정이다.
중앙회는 2019년 검사·감독을 전담하는 독립 기구 ‘금고감독위원회’를 신설하며 검사 강화를 추진해 왔다. 검사원 인력도 117명에서 올해 217명으로 86% 늘렸지만, 전국 3,223개 점포를 2년 주기로 검사하는 데 여전히 인력 부족이 문제로 지적돼 왔다. 중앙회는 시스템 재구축이 이 같은 비효율을 보완하고 금융사고 예방 성과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새마을금고 입장에서도 내부통제 역량을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새 시스템은 금고가 잠재적 위험 요소를 폭넓게 파악할 수 있도록 데이터를 제공하고, 사고 가능성이 높은 영역에 대한 선제적 내부통제를 유도한다.
새마을금고 관계자는 “고도화된 IT 기술 기반의 내부통제를 통해 회원이 신뢰할 수 있는 지역 밀착형 상호금융기관으로 거듭나겠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