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08 (수)

  • 구름조금동두천 -1.2℃
  • 맑음강릉 1.6℃
  • 구름많음서울 0.0℃
  • 맑음대전 1.2℃
  • 흐림대구 2.7℃
  • 구름조금울산 3.6℃
  • 광주 1.0℃
  • 구름많음부산 4.1℃
  • 구름조금고창 0.0℃
  • 제주 7.2℃
  • 구름많음강화 -0.7℃
  • 구름많음보은 -0.5℃
  • 흐림금산 -0.2℃
  • 구름많음강진군 3.5℃
  • 구름많음경주시 3.3℃
  • 구름조금거제 3.5℃
기상청 제공
메뉴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 사모펀드 '단기투자' 비판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한국기업거버넌스포럼 초대 회장을 역임한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가 최근 사모펀드 투자 행태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밝혀 주목된다. 7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류 대표는 지난 4일 자신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마지막 남은 하나의 미션’이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한국 자본시장에서는 ‘단기성과주의’의 미망이 유령처럼 떠돌고 있다”며 사모펀드(PEF) 업계를 중심으로 여전히 장기투자 문화가 정착되지 못했음을 비판했다.

 

류 대표는 “투자 대상 기업의 자산, 인력, 점포, 사업부문 등을 잘라 버리고 태워 버리면 사모펀드의 단기적 수익은 극대화될지 모르나 그 기업의 종업원, 지역사회, 협력업체들에게는 파멸적 결과가 올지 모른다”며 경고했다. 그는 이어 “영미식 주주자본주의와 그에 기댄 금융화가 더욱 촉진되면서 장기투자는 언감생심이고 단기성과주의가 강조되고 있다”며 “장기주의가 전제되지 않은 ESG 분석(경영)과 주주권 행사는 사상누각이거나 가짜, 워싱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류 대표는 사모펀드를 ‘주주자본주의 폐해를 극단적으로 노정하는 투자기법’으로 지칭하면서 기업경영의 정상화 이룩, 지속가능한 성장 안내 등 순기능도 있지만 실상은 역효과가 더 많다고 지적했다. 류 대표는 2019년 미국 하버드대와 시카고경영대 연구진의 조사 결과를 대표적인 실증 사례로 꼽았다.

 

연구 내용에 따르면 사모펀드가 인수한 기업들의 경우 동종업계 평균 대비 14.4%의 일자리 감소를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 류 대표는 △토이저러스 △스포츠오소리티 △아트밴퍼니처 등 해외 소매기업들이 매장 폐쇄와 파산으로 수십만 명의 근로자가 실직했고 국내에서도 다수 사모펀드가 투자한 기업들에서 유사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고 언급했다.

 

류 대표는 ‘이들은 약탈자들이다: 사모펀드가 미국을 운영하고 파괴하는 방식’ 책 내용을 인용하면서 사모펀드 업계의 기업 경영 실태를 꼬집었다. 그는 “사모펀드의 이면에는 돈을 최고의 가치로 놓는 ‘탐욕’이 자리 잡고 있을뿐”이라며 “책 저자들은 사모펀드를 일컬어 ‘탄탄한 투자 수익으로 정당화되는 약탈’이라고 말하고 있다”고 밝혔다.

 

류 대표는 "최근 국내에서도 사모펀드 영향력이 매우 커지고 있고 행동주의를 표방하는 전문 펀드들도 등장해 목소리를 더욱 높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지만 이러한 금융자본주의 확산과 발전이 장기주의 투자 발전과 동행하지 못한다면 지난 반세기 이상 오너 자본주의가 노정해 왔던 터널링과 같은 허다한 문제들과는 차원이 다른 문제점들을 노정할 수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사모펀드가 단기적 관점에서 투자하는 행태를 경계해야 한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류 전 회장은 "투자 대상 기업의 자산, 인력, 점포, 사업부문 등을 잘라버리고 태워버리면 사모펀드들의 단기적 수익은 극대화될지 모르나 그 기업의 종업원, 지역사회, 협력업체들에게는 파멸적 결과가 올지 모른다"고 지적했다.

 

류 대표는 국민연금의 ESG 투자와 기관투자자들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장려해야 할 필요성도 강조했다. 그는 "(국민연금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장기투자를 할 수 있는 자금 구조를 갖추고 있다"며 "국민연금의 투자는 여의도 기관투자자들과 우리 자본시장에 엄청난 파급효과를 행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난해 민주당 의원들은 국민연금의 ESG 투자 의무화를 규정함으로써 투기자본에 국민연금이 출자하지 못하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국민연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뜻하는 스튜어드십 코드 역시 기업 지배구조 개선과 밸류업 관점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MBK 등 일부 대형 운용사들이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과 관련, 논란을 사기도 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