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2.05 (수)

  • 맑음동두천 -7.1℃
  • 맑음강릉 -4.4℃
  • 흐림서울 -8.6℃
  • 맑음대전 -5.4℃
  • 맑음대구 -3.7℃
  • 맑음울산 -2.2℃
  • 광주 -4.6℃
  • 맑음부산 -0.7℃
  • 흐림고창 -6.3℃
  • 구름많음제주 4.0℃
  • 구름많음강화 -8.2℃
  • 맑음보은 -6.5℃
  • 맑음금산 -5.8℃
  • 구름조금강진군 -1.1℃
  • 맑음경주시 -3.1℃
  • 맑음거제 -0.5℃
기상청 제공
메뉴

카카오뱅크 작년 순익 4401억원 '역대 최대'

이자수익 15% 증가…주담대 잔액 1년새 39%↑
비이자수익도 26% 늘어…배당금 주당 360원
가계대출 증가세 견인한 일등공신 주택담보대출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지난해 카카오뱅크의 순이익이 지난해 역대 최고점을 찍었다. 40% 가까이 급증한 주택담보대출이 실적 개선의 효자 역할을 했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전체 순이익이 전년보다 24.0% 늘어난 440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공시했다. 이는 연간 실적 기준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지난해 4분기 실적만 계산할 경우 845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전년 동기대비 11.6% 늘어난 금액이다. 하지만 지난해 3분기에 기록한 분기 최대 순이익 1242억원에는 400억원 가량 밑돌았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영업수익은 전년도바 15.1% 늘어난 2조9456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영업수익중 2조565억원은 이자수익이다. 시장금리 하락으로 순이자마진(NIM)이 축소됐지만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규모가 늘어난 게 실적 개선으로 나타난 셈이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기준 NIM은 2.15%로 집계됐다. 직전 분기인 작년 3분기(2.15%)와 같은 수준이다. 하지만 작년 4분기(2.36%)와 비교하면 0.21%포인트(p) 낮아졌다. 가계대출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41조380억원이다. 이는 2023년 말(37조7240억원) 실적보다 9.5% 늘어난 기록이다.

 

가계대출 증가세를 견인한 일등공신은 주택담보대출이다. 카카오뱅크의 주택담보대출(전월세대출 제외) 잔액은 지난해 말 12조6520억원을 기록했다. 1년새 38.5% 급증한 수치다. 반면 전월세대출은 같은 기간 12조1730억원에서 11조5250억원으로 5.3% 줄었다.

 

카카오뱅크의 중·저신용대출 평잔과 비중은 지난해 말 기준 각각 약 4조9000억원, 32.4%로 집계됐다. 개인사업자대출 잔액도 2023년 말(9500억원)의 2배 수준인 1조8940억원으로 늘어났다.

 

하지만 건전성 지표는 다소 나빠졌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연체율(0.52%)은 전 분기(0.48%)와 전년보다 0.01%p 높아졌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비이자수익은 8891억원으로, 2023년(7079억원)보다 25.6% 증가했다. 영업수익에서 대출 이자 외 수익이 차지하는 비중은 30%까지 늘었다.

 

또 대출 비교 서비스, 투자 서비스 성장에 힘입어 수수료·플랫폼 수익은 3017억원에 달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지속적 고객 활동성과 수신 확대를 기반으로 여신 상품 확대, 수수료·플랫폼 비즈니스, 투자금융자산 운용 등 전 부문에서 균형 잡힌 성장을 실현했다”고 밝혔다.

 

카카오뱅크 고객 기반은 확대되는 추세다. 카카오뱅크의 지난해 말 고객 수는 2488만명, 월간 활성 이용자(MAU) 수는 1890만명을 기록했다. 수신 잔액은 지난해 말 기준 55조원, 여신 잔액은 43조2000억원이다. 

 

한편 카카오뱅크는 이사회 결의를 통해 지난해 회계연도 이익에 대한 주당 배당금을 360원으로 결정했다. 카카오뱅크 관계자는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기반으로 주주환원과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