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SK하이닉스가 글로벌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서 삼성전자를 제치고 사상 첫 분기 매출 1위를 차지했다.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의 압도적 경쟁력이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31일 연합뉴스가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2분기 D램과 낸드를 포함한 전체 메모리 시장에서 21조80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삼성전자의 메모리 매출은 21조2000억원이다. 두 회사간 격차는 6000억원 가량으로 집계됐다.
당초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잠정 데이터 기준으로 양사가 공동 1위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양사의 2분기 실적이 확정되면서 SK하이닉스가 단독 1위에 오른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SK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메모리 부문에서 처음으로 추월한 사례다.
SK하이닉스의 약진 배경에는 HBM 시장 주도권이 자리하고 있다. SK하이닉스는 2023년 1분기 3조4000억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이후 생산 효율화와 기술 중심의 전략을 강화하면서 실적 반등에 성공했다. 특히 AI(인공지능) 열풍으로 HBM 수요가 급증하면서 SK하이닉스의 고성능 메모리 기술력이 시장에서 돋보였다.
반면 삼성전자는 HBM 부진이 뼈아팠다. 삼성전자의 HBM 점유율은 지난해 2분기 41%에서 올해 2분기 17%로 급락했다. 이는 대중국 수출 규제 등 판로 제약과 HBM 제품 신뢰성 확보 지연이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HBM 시장에서 뒤처진 점유율을 회복하려면 HBM3E 제품의 판로 확대와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통과가 관건”이라며 “다만 최근 삼성 파운드리가 테슬라 수주에 성공한 만큼, 향후 전반적인 실적 개선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