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용인 수지구 아파트 시장의 ‘평(3.3㎡)당 5,000만원’ 시대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인접한 분당 재건축이 4~5억대 분담금으로 분양가 상한선을 끌어올리는 한편, 수지구 내 리모델링 사업 역시 억대 분담금을 동반하며 분양가 하한선을 다지는 ‘샌드위치’ 구도가 형성되고 있어서다. 이에 따라 ‘지금이 가장 싸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어, 신규 분양단지에도 관심이 높을 전망이다.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분당 재건축 아파트는 단지와 주택형에 따라 상이하지만 최소 4~5억원의 분담금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재건축 선도지구인 ‘분당 양지마을’은 6개 단지 4,400가구를 7,500가구로 만드는 통합 재건축이 추진 중이지만 일부 소유주에게는 7억원에 달하는 분담금이 예고된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실제 분담금이 이번 추정 분담금보다 훨씬 높아질 가능성이 크다는 데 있다. 공사비가 계속 올라 착공 시점에 드는 비용이 지금보다 늘어날 수 있다. 또한 국토부는 착공 물량을 조정해 이주 물량을 분산한다는 계획을 갖고 있어, 늦게 재건축되는 단지는 상승하는 건축비 등으로 인해 분담금은 더 불어날 전망이다.
높아진 분담금은 결국 높은 분양가로 연결된다. 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원 '분담금'과 '일반 분양가'는 시소와 같은 관계이기 때문이다. 조합 입장에서는 조합원들의 분담금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일반 분양가를 최대한 높여 수익을 극대화하는 전략을 쓸 수밖에 없다.
결국 수억 원대의 높은 분담금이 예상된다는 것은, 조합이 부담을 상쇄하기 위해 일반 분양가 역시 ‘역대 최고 수준’으로 책정될 것이라는 시그널로 해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당 재건축 일반분양가는 보수적으로 잡아도 3.3㎡당 6,000만~7,000만원 수준이 될 것이라는 평가다.
부동산 관계자는 “분당에서 리모델링으로 분양되는 느티나무 3단지만봐도, 정확한 분양가는 나와봐야 알겠지만, 7,000만원 수준일 것이라는 말이 돈다”라며 “분당 재건축은 용적률이 기본적으로 높아 일정 수준 이상의 분담금을 감내 해야하는데 얼마나 더 오를지가 문제고, 결국 높은 분양가로 귀결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