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현대건설이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원전 시장 확대를 위해 세계적 원전 전문가를 전격 영입하며 원전 사업 경쟁력 강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대건설은 최근 웨스팅하우스 부사장을 역임한 마이클 쿤을 글로벌 원전사업 자문으로 영입했다고 4일 밝혔다. 그는 현대건설의 대형원전 및 SMR(소형모듈원전) 분야 사업 발굴과 수주 전략 수립, 현지 인허가 자문, 그리고 미 정부 및 국제 파트너사와의 네트워크 확장을 총괄하게 된다.
이번 영입은 현대건설이 추진 중인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EPC(설계·조달·시공) 사업의 완성도를 높이는 한편, 북미와 유럽 지역에서의 원전 수주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현대건설은 그동안 국내외 원전 설계·시공 역량을 토대로 글로벌 시장 진출 기반을 다져왔으며, 마이클 쿤의 합류로 본격적인 해외 확장 단계에 돌입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34년 이상 원전 업계에 몸담아온 마이클 쿤은 웨스팅하우스, ABB 컴버스천 엔지니어링 등에서 주요 직책을 맡으며 전 세계 신규 원전 프로젝트를 총괄해온 베테랑이다. 특히 아랍에미리트(UAE) 바라카 원전 프로젝트에서 설계와 기자재 조달, 현지 법인 설립, 프로젝트 관리를 총괄하며 사업을 성공적으로 완수한 인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는 불가리아, 핀란드, 중국 등 다양한 국가에서 원전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과 함께, 한국의 한빛·한울·새울 원전의 설계 및 인허가, 기자재 조달에도 참여한 이력으로 한국형 원전(KNPR)에 대한 이해도 또한 깊은 것으로 전해졌다.
또한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원전 설계 인증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최신 원전 기술 트렌드를 선도해왔고, 유럽 시장에서 신형 원전 수주와 계약 체결을 주도한 경험을 바탕으로 현대건설의 글로벌 원전 사업에 핵심 역할을 맡게 된다.
최근 에너지 안보 강화와 공급망 안정성이 주요 국제 이슈로 부상하면서, 미국 정부는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현재의 4배로 확대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현대건설이 웨스팅하우스와의 협력을 기반으로 미국 내 원전 프로젝트를 확대할 가능성도 커지고 있다.
현대건설은 이미 미국 에너지 디벨로퍼 ‘페르미 아메리카’와 손잡고 세계 최대 규모의 복합 에너지 및 인공지능 캠퍼스내 대형원전 4기의 기본설계 계약을 체결했다. 이와 함께 웨스팅하우스, 홀텍 등 미국 주요 원전 기업과 협력해 불가리아 코즐로두이 대형원전 설계 계약을 진행 중이며, 팰리세이즈 SMR-300 건설 프로젝트에도 참여하는 등 한미 간 원전 협력 성과를 가시화하고 있다.
현대건설은 미국 ENR 상위권 건설사, 글로벌 에너지 디벨로퍼, UAE 원자력공사 등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연이어 체결하며 원전 건설 기술력의 글로벌 확산을 본격 추진하고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마이클 쿤은 원전 산업 전반에 걸친 풍부한 경험과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현대건설의 원전 사업 확장을 선도할 것”이라며 “그의 전문성과 통찰력이 현대건설이 글로벌 원전 시장의 새로운 게임체인저로 도약하는 데 핵심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