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지난 5년간 국내 주요 대기업에서 임원 증가율이 직원 증가율의 약 4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융권을 중심으로 직원 수는 줄었지만 임원만 늘어나는 ‘역(逆)성장 구조’가 확인됐다. 올해 진행중인 임원 인사에서 이러한 구조적 불균형이 어떻게 반영될지 관심이 쏠린다.
25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한 331개 기업을 대상으로 2020년 1분기부터 2025년 반기까지 임직원 증감 현황을 분석한 결과, 직원 수는 121만9,586명에서 125만3,474명으로 3만3,888명(2.8%)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임원 수는 같은 기간 1만2,688명에서 1만3,873명으로 1,185명(9.3%) 증가해 직원 증가율을 크게 웃돌았다. 이에 따라 직원 100명당 임원 비중도 1.04%에서 1.11%로 상승했다. 업종별로는 직원·임원이 모두 증가한 업종이 13개였으며, 직원 수는 감소했지만 임원 수가 증가한 업종도 3개로 나타났다. 가장 뚜렷한 격차를 보인 곳은 금융업이었다.
은행권 12개사의 직원 수는 9만2,889명에서 8만3,907명으로 8,982명(-9.7%) 감소했으나, 임원은 293명에서 327명으로 34명(11.6%) 증가했다. 한국씨티은행은 직원이 56.3% 줄었는데 임원은 17.6% 늘었다. SC제일은행도 직원 -16.7%, 임원 +16.7%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또 국민은행은 직원 -12.5%·임원 +28.6%, 하나은행은 직원 -8.0%·임원 +42.3%로 임원 증가 폭이 특히 컸다. 반면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은 직원·임원이 모두 감소했다.
보험업계도 구조적 괴리가 컸다. 전체 직원 수는 4만4,847명에서 4만2,103명으로 2,744명(-6.1%) 줄었지만, 임원 수는 671명에서 734명으로 63명(9.4%) 증가했다. 교보생명은 직원 -7.7%에 임원 +53.7%, 롯데손해보험은 직원 -1.8%에 임원 +52.4%로 격차가 가장 컸다.

통신, 유통, 석유화학 업종은 직원·임원이 모두 감소했으나, 직원 감소 폭이 훨씬 컸다. 통신 3사의 직원 수는 3만9,408명에서 3만608명으로 22.3%(-8,800명) 줄었다. 하지만 임원은 285명에서 281명으로 4명 감소에 그쳤다. KT는 직원이 37.5% 감소하는 동안 임원은 5명 줄어드는 데 그쳐 인력 구조조정이 직원 위주로 진행됐음을 보여줬다.
유통업도 직원 -10.1%, 임원 -2.9%로 비슷한 흐름을 보였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직원 -13.8%, 임원 -7.0%로 직원 감소 폭이 컸다. 한편 여성 인력 증가세는 눈에 띄었다. 여성 직원은 31만7,714명에서 33만6,046명으로 1만8,332명(5.8%) 증가해 남성 직원 증가율(1.7%)을 크게 웃돌았다. 여성 임원은 585명에서 1,114명으로 529명(90.4%)이나 늘어 남성 임원 증가율(5.4%)의 16배에 달했다.
다만 여성 임원 비중 확대는 여전히 제한적이다. 여성 직원 100명당 여성 임원 비율은 0.2%에서 0.3%로 낮은 수준에 머물렀고, 전체 직원 중 여성 비중도 26.8%로 30%에 미치지 못했다. 임원 중 여성 비중은 4.6%에서 8.1%로 상승했는데, 이는 자산 2조원 이상 상장사에 이사회 성별 다양성 의무가 도입되면서 여성 사외이사 증가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