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서울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다음달 12일 총파업을 예고하며 공사와 서울시에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공사 1노조인 민주노총 산하 서울교통공사노동조합은 25일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대규모 인력 감축과 임금 후퇴를 중단하지 않으면 총파업에 돌입할 것”이라고 밝혔다.
노조는 파업 돌입 전까지 단계적 투쟁에 나서리고 했다. 노조는 27일 서울시청 앞에서 총력투쟁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오는 12월 1일부터는 규정 외 작업을 거부하는 준법 운행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노조는 “승무원 부족으로 인한 안전 위협이 심각한데도 공사는 비용 절감을 이유로 구조조정을 밀어붙이고 있다”며 인력 감축 중단과 임금 정상화를 요구했다.
쟁점은 크게 ▲임금 인상 수준 ▲구조조정 여부 ▲신규 채용 규모 등이다. 노조는 정부가 공공기관에 제시한 올해 임금 인상률 3%를 적용해야 하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해야 한다는 대법원 판결도 준수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반면 공사는 재원 부족을 이유로 1.8% 인상안을 제시하며 난색을 보이고 있다. 구조조정 역시 공사는 적자 해소 차원에서 불가피하다는 입장이지만, 노조는 “승무 인력 부족으로 업무가 과중해 안전사고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반대하고 있다.
신규 채용 문제도 갈등 요인이다. 노조는 열악한 근무환경 해소를 위해 인력 충원이 필수라고 주장하지만, 공사는 서울시 승인 없이 단독 채용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노조는 “경영 효율화만을 내세워 노동조건을 후퇴시키는 방침을 철회하라”며 오세훈 서울시장의 직접 개입을 촉구했다.
노조는 서울지방노동위원회를 통해 조정을 시도했으나 법정 조정 기간이 만료되며 ‘조정 중지’ 결정이 내려져 파업 등 쟁의행위가 가능해졌다. 앞서 14~19일 실시된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도 83.53%의 찬성률로 가결됐다.
현재 공사는 1노조 외에도 한국노총 소속 2노조, MZ노조로 불리는 3노조와 각각 교섭을 진행하고 있다. 1노조는 전체 조합원의 57.4%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2노조와 3노조 역시 모두 조정 중지로 합법적 파업권을 확보했다. 2노조는 공사의 입장을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또 3노조는 26일 기자회견을 열고 향후 쟁의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