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네이버파이낸셜과 국내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를 운영하는 두나무의 합병이 초읽기에 들어가면서 핀테크·블록체인 산업 전반에 대변혁이 예고되고 있다. 양사는 26일 각각 이사회를 열어 합병안을 의결할 예정이다.
또 27일 네이버 제2사옥 ‘네이버 1784’에서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송치형 두나무 회장이 직접 합병 구상과 향후 전략을 발표한다. 이날 최수연 네이버 대표, 오경석 두나무 대표, 박상진 네이버파이낸셜 대표 등 최고경영진도 총출동한다.
이번 결합의 핵심 쟁점은 주식 교환 비율이다. 시장에서는 네이버파이낸셜 가치를 5조원, 두나무 가치를 15조원으로 평가해 ‘1대 3’ 비율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이 비율이 적용되면 두나무 창업자인 송치형 회장과 주요 주주가 통합법인의 약 30% 지분을 확보하며 최대주주로 올라선다.
기존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였던 네이버의 지분율은 현재 69%에서 약 17% 수준으로 낮아진다. 합병은 이사회 의결 후 주주총회 특별결의를 거쳐야 하며, 출석 주주 3분의 2 이상·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찬성이 필요하다.
업계가 가장 주목하는 부분은 ‘스테이블코인 기반 결제 혁신’이다. 네이버는 검색·쇼핑·콘텐츠에서 소비 데이터를 독점적으로 확보해왔고, 두나무는 업비트 이용자를 중심으로 투자·자산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다. 양사의 데이터 생태계가 통합될 경우 ‘소비 → 결제 → 투자’로 이어지는 순환형 금융 플랫폼이 형성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특히 네이버페이에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적용되면 블록체인 기반 자동 정산으로 가맹점 수수료가 사실상 ‘0%’에 가까워져 결제 시장 구조가 크게 재편될 수 있다. 글로벌 확장 전략 역시 핵심 축이다. 이해진 의장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장관들과 만나 스테이블코인 기반 디지털 금융 협력을 논의했다.
두나무 역시 일본·중동·남미 등 다양한 국가의 스테이블코인 활용도를 언급하며 적극적 글로벌 진출 의지를 드러내고 있다. 라인야후 사태 이후 일본·아시아 거점이 흔들린 네이버에게는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다는 평가다.
다만 규제 리스크는 여전히 남아 있다. 금융당국은 간편결제와 가상자산이 결합할 경우 금융 리스크가 통제 가능할지 검토해야 하며, 공정거래위원회는 시장 지배력 강화 여부를 면밀히 들여다본다. 특히 금융업과 가상자산업의 직접 결합을 제한하는 ‘금가분리’ 원칙과의 충돌 가능성이 지적된다. 일부에서는 네이버·두나무 결합이 국내 간편결제·가상자산 시장의 경쟁을 약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한다.
그럼에도 전문가들은 이번 합병이 두 기업 모두에게 성장 정체와 규제 환경을 뛰어넘기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고 본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결합은 단순한 지배구조 재편이 아니라 국내 빅테크와 가상자산 산업이 최초로 본격적인 동맹을 맺는 순간”이라며 “향후 10년 한국 금융·핀테크 지형을 새로 그릴 분기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