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홈플러스가 공개 매각을 위한 본입찰에서 인수 희망자를 찾지 못하며 정상화 계획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26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서울회생법원은 이날 오후 3시 본입찰 마감 시점 기준, 입찰서를 제출한 업체가 한 곳도 없었다고 밝혔다. 지난달 인수의향서를 제출했던 하렉스인포텍과 스노마드 역시 본입찰 참여를 포기했다.
법원은 회생계획안 제출 기한인 오는 12월 29일까지 홈플러스·매각 주간사 삼일회계법인·채권자협의회 등 이해관계인들의 의견을 수렴해 향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법원 관계자는 “자체 회생계획안 마련 여부, 혹은 2차 경쟁입찰 재개 등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회생 절차의 방향을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홈플러스는 M&A가 가장 현실적인 재건 방안이라는 입장을 유지하며 다음 달까지 입찰 제안서를 계속 받겠다는 계획이다. 홈플러스 측은 “고용·협력사·입점주 보호를 위해 반드시 M&A를 성사시키겠다”며 “법원·채권단·정부 등 모든 이해관계자와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홈플러스 사태 해결 공동대책위원회는 이날 “이번 무산은 민간 자율시장만으로는 정상화가 불가능함을 보여준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공적 개입을 촉구했다. 특히 마트노조 홈플러스지부 지도부 3명은 8일부터 단식 농성을 이어가고 있으며, 정부가 개입하지 않을 경우 다음 달 1일부터는 물과 소금도 끊겠다고 밝혔다.
홈플러스는 올해 3월 선제적 구조조정을 위해 법원에 회생 절차를 신청했고, 이후 인수희망자 탐색을 위한 ‘스토킹 호스’ 방식 M&A가 진전되지 않자 지난 10월 공개경쟁 입찰을 진행했지만 결과를 얻지 못한 상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