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연옥 기자] 풀무원(대표 이우봉)이 해양수산부 주관 ‘지속가능한 우량 김 종자 생산 및 육상양식 기술개발’ 국책 R&D 과제의 최종 사업자로 선정되며, 뛰어난 푸드테크 역량과 기술혁신 성과로 미래 식품산업을 선도하는 푸드테크 혁신기업임을 입증했다고 23일 밝혔다.
‘검은 반도체’로 불리는 김은 K-푸드 대표 수출 품목으로, 현재 미국·일본·동남아시아 등 120여 개국에 1조 원 규모로 수출되고 있다. 연중 균일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육상양식’ 기술이 차세대 해조류 산업의 핵심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어, 풀무원은 이 분야에서 국내 최고 수준의 혁신 역량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향후 5년간 350억 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R&D 프로젝트로 ▲김의 연중 생산이 가능한 육상양식 김 종자 개발 ▲김의 연중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및 품질 관리 등 두 가지 세부 과제로, 기업이 참여하는 컨소시엄 형태로 진행되며, 풀무원은 국립공주대∙포항공대∙대상 등과 함께 ‘김의 연중 생산을 위한 기술개발 및 품질 관리’ 과제에 참여하는 컨소시엄을 구성해 수행기관으로서 연구개발을 주도하게 된다.
풀무원은 올해 핵심 실천 과제 중 하나를 ‘푸드테크 통한 미래 대응’으로 정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푸드테크 기반의 새로운 사업 영역 발굴과 기술개발, 혁신에 주력하고 있다.
이번 정부 과제의 최종 선정은 국내 주요 식품기업 간 치열한 경쟁 속에서 이뤄낸 값진 성과로, 풀무원이 축적해온 푸드테크 역량과 뛰어난 기술혁신의 결과물이다. 풀무원은 국내 식품 대기업 중 김 육상양식 기술에 있어 앞선 기술력과 선행 연구 실적을 보유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이번 사업자 선정에서는 자체 예산으로 새만금에 실증센터를 구축하겠다는 구체적이고 실행력 있는 R&D 계획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풀무원은 이번 과제를 통해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새만금에 대규모 실증단지를 구축하고, 김 육상양식 기술의 상용화를 위한 본격적인 연구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다. 나아가 최종적으로는 개발된 기술을 어업인들에게 보급해 해조류 양식 산업 전반의 생태계를 혁신한다는 계획이다.
풀무원 이우봉 총괄CEO는 “이번 해수부의 국책과제인 김 육상양식 사업자 선정은 그동안 풀무원이 축적해온 푸드테크 역량과 미래 식품산업을 향한 실행력 있는 선제적 투자의 결실”이라며 “앞으로도 푸드테크 혁신을 통한 신사업 발굴을 통해 지속가능한 미래 식품산업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김 육상양식은 실내에 해양과 유사한 환경을 인공적으로 조성해 김을 생산하는 기술로, 안정적인 품질관리와 친환경적인 생산 방식으로 주목받고 있다. 풀무원은 2006년부터 김 종자 개발을 시작해 2014년 민간기업 최초로 품종보호권(풀무노을, 풀무해심)을 획득하고 상품화에 성공했다.
풀무원은 이 분야에서 3건의 특허를 출원했으며, 작년에는 실제 김 육상양식으로 물김 생산에 성공하여 풀무원의 비거니즘 레스토랑 ‘플랜튜드’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선보인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