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청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사진=연합뉴스]](http://www.seoultimes.news/data/photos/20250832/art_17545500205978_3896c8.jpg?iqs=0.2540451820795544)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이청 삼성디스플레이 대표이사 사장이 미국발 관세 강화 조치에 따른 디스플레이 산업의 불확실성을 우려하면서도, 폴더블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기술 시장에서는 강한 자신감을 드러냈다. 하지만 이 사장은 미국 투자 계획에 대해서는 검토한 바 없다며 다소 부정적 견해를 피력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관세 리스크를 고객사와의 협의를 통해 대응해나가는 한편, 글로벌 빅테크 고객 확대를 위한 도전도 계속할 방침이다. 이 사장은 7일 서울 코엑스에서 개막한 ‘K-디스플레이 2025’ 행사에서 “최근 미국에서 거론되고 있는 반도체 품목 관세(100%)가 현실화될 경우, 세트(완제품) 업체의 원가가 상승하면서 소비 둔화와 함께 디스플레이 등 부품 단가 인하 압박이 예상된다”며 “삼성디스플레이도 이런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하반기는 전통적으로 고객사들의 신제품 출시로 디스플레이 업황이 강세를 보이는 시기지만, 올해는 관세 영향으로 시장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며 “고객사들도 보수적인 비즈니스 운영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감을 표시했다. 이 사장은 미국내 직접 투자에 대해서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아직 미국 투자 계획은 검토한 바 없다”며, 가격 인하 압박 등 외부 환경 변화에 대해서는 “고객사와 어떻게 협의하고 준비해 나가느냐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삼성디스플레이가 글로벌 시장에서 선도적인 입지를 굳힌 폴더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는 강한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 사장은 “폴더블은 기술적으로 매우 복잡하고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 분야”라며 “최근 출시된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과 플립7도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했다. 그는 이어 “내년이나 그 이후에는 폴더블폰 출하량이 더욱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업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항상 새로운 도전에 대한 준비가 돼 있다”며 “당연히 해야 하는 일이고, 열심히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 안팎에서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애플의 차기 폴더블폰에 패널을 공급할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마이크로 LED 양산 계획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개발을 많이 하고 있다”며 “양산 시점은 고객사들이 준비돼야 가능한 일”이라고 다소 조심스러운 입장을 보였다. 중국 가전업체와의 협업 가능성에 대해서는 “현재로서는 전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전시장에 대한 소감을 묻는 말에는 “한국 디스플레이 공급망 관리(SCM)가 매우 견고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지금보다 더 잘하고 노력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더욱 크게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앞으로도 기존 글로벌 공급망을 중심으로 생산 최적화와 인공지능(AI) 기반 제조 혁신을 통해 가격 경쟁력 강화에 나설 방침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또 관세 등 외부 변수에 대응하면서도 차세대 기술 시장 확대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