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2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메뉴

동성제약, 경영권 분쟁 결론 없이 장기화...나원균 대표 "일단 경영권 유지"

나원균 대표 해임안 부결·이양구 전 회장 사외이사 선임 철회
신규 이사·사외이사 선임으로 이사회 권한 분산…소액주주 표심 영향
기업회생 절차 속 경영 정상화 과제…R&D·사업 성장 지속 계획

[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동성제약 경영권을 둘러싼 나원균 대표와 삼촌인 이양구 전 회장의 갈등이 임시주주총회에서도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장기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1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이날 서울 서초구 오클라우드호텔에서 열린 임시주총에서 나 대표 해임 안건은 특별결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해 부결됐다. 이 전 회장의 사외이사 선임 안건 역시 후보자가 사퇴하면서 철회됐다.

 

다만 이번 주총에서는 일부 신규 인사가 보강됐다. 함영휘, 유영일, 이상철이 사내이사로, 원태연이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이에 따라 나 대표 측은 경영권을 유지하게 됐지만, 이 전 회장 측도 이사회 권한을 활용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져 분쟁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이번 주총은 예정 시간보다 7시간 이상 지연된 오후 5시 15분께 시작됐다. 주주 입장과 의결권 위임장 집계 과정에서 고성과 소란이 발생하는 등 긴장감이 감돌았다. 동성제약 경영권 분쟁은 지난 4월 이 전 회장이 보유 지분 14.12%를 마케팅 전문기업 브랜드리팩터링에 매각하면서 본격화됐다.

 

나 대표 측은 이 전 회장이 ‘의결권 포기 약정 및 주식 양도 제한 계약’을 위반했다고 주장하는 반면, 브랜드리팩터링은 이번 주총을 통해 경영진 교체를 추진하며 맞서왔다. 양측은 법적 다툼으로까지 이어졌다. 이 전 회장 측은 6월 나 대표 등 경영진 3명을 횡령·배임 혐의로 고소했다. 동성제약은 지난달 이 전 회장을 업무상 배임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이번 임시주총에서는 소액주주 표심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반기보고서 기준 브랜드리팩터링 지분율은 11.16%, 나 대표는 2.88%에 불과하며, 자기주식을 제외한 나머지 77.65%가 사실상 소액주주 몫이다. 정관 변경과 이사·감사 해임은 상법상 특별결의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신규 이사·감사 선임은 보통결의안으로 출석 주주의 과반과 발행주식 총수의 일정 비율 찬성이 필요하다. 나 대표는 이번 주총에서 경영권을 유지하는데 성공했지만 기업 회생과 경영 정상화 과제를 앞두게 됐다.

 

동성제약은 지난 6월 기업회생 절차에 돌입하며 상장 폐지 위기에 몰렸지만, 한국거래소로부터 내년 5월까지 개선 기간을 부여받았다. 나 대표 측은 주총 직후 발표한 성명에서 “회생법원과 거래소 제출 경영개선계획 이행을 위한 경영 정상화를 지속하겠다”며 “재무구조 개선과 경영 투명성 강화에 집중하고, 구조조정을 통한 비용 감축과 매출 성장 전략을 흔들림 없이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나 대표측은 또 “회사의 핵심 신약 후보물질 포노젠의 임상 2상 준비에 박차를 가하겠다”며 경영 안정화와 R&D 중심 사업 성장 의지를 재확인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