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어깨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 중 상당수가 오십견 진단을 받고 있다. 오십견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 예전에는 주로 50대 전후의 중장년층에서 발병했지만, 최근에는 젊은 환자가 늘면서 ‘삼십견’, ‘사십견’이라는 표현까지 등장했다. 이처럼 나이 탓으로만 치부하기 어려운 만큼 세밀한 진단과 관리의 중요성이 커졌다.
이 질환의 의학적 명칭은 ‘유착성 관절낭염’ 혹은 ‘동결견’이다. 어깨 관절을 감싸는 관절낭이 염증이나 퇴행성 변화로 두꺼워지고 달라붙으면서 관절 움직임이 제한되고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별다른 외상 없이 찾아오는 경우가 많아 원인을 특정하기 어렵지만,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현대인의 생활습관 관계상 갑작스러운 어깨 사용이나 무리한 운동이 손상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당뇨와 같은 대사질환도 관련이 있다.
대표적인 오십견 증상은 어깨가 뻣뻣하게 굳는 느낌과 함께 팔을 올리거나 회전할 때 통증을 겪는 것이다. 머리를 감거나 옷을 입는 동작처럼 일상적인 활동이 큰 불편을 초래하며, 특히 야간 통증으로 인해 숙면을 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아침에 일어나 움직이면 통증이 다소 완화되는 것도 흔히 나타나는 양상이다.
어깨에 증상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회전근개파열과 같은 다른 질환과 혼동되기도 한다. 그러나 회전근개파열은 타인이 팔을 들어 올려줄 때 통증이 덜한 반면, 오십견은 남이 억지로 움직여도 통증이 심하고 팔이 잘 올라가지 않는다. 오십견은 여성에게 더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는 점도 눈여겨볼 필요가 있다.
문제는 초기 증상이 피로감이나 일시적인 근육 뻐근함으로 오해되기 쉽다는 것이다. 특히 젊은 연령층은 질환 가능성을 간과하기 때문에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이는 방치할수록 회복 기간이 길어지고, 심하면 수년간 통증이 지속되거나 관절 운동장애가 남을 수 있다. 따라서 어깨 기능에 불편이 시작된다면 조기에 진단을 받고 치료방법을 찾아야 한다.
치료는 우선 물리치료나 운동요법 등 보존적 방법이 기본이다. 다만 무리한 도수치료는 오히려 손상을 유발할 수 있어 전문가의 지도가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한방 치료가 보완적 역할을 할 수 있다. 병원과 한의원의 통합진료 시스템을 갖춘 한방병원에서는 침과 약침 치료로 근육 긴장을 완화하고 염증을 줄이며, 한약을 통해 근육과 체내 균형 회복을 도울 수 있다. 부항, 뜸과 같은 온열요법 등을 병행하면 혈액순환 개선과 통증 경감에도 효과적이다.
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자가 통증 없는 일상으로 복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양방 치료와 한의학적 접근이 균형 있게 적용되는 협진 환경이 필요하며, 알맞은 재활 프로그램도 병행되어야 한다. 장기적 불편을 줄이고 조기에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험 많은 의료진과 상담해 개개인의 증상과 생활 패턴을 고려한 맞춤형 치료방법을 찾는 것이 좋다.
<성북미올한방병원 양성필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