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삼성전자가 내년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전자전시회 ‘CES 2026’을 앞두고 총 27개의 ‘CES 혁신상’을 수상했다. 이중 최고혁신상 3개를 포함해 영상디스플레이, 생활가전, 모바일, 반도체, 오디오 등 전 부문에서 기술 경쟁력을 인정받으며 명실상부한 글로벌 혁신 리더의 위상을 재확인했다.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는 5일(현지시간) CES 혁신상 수상 제품과 기술을 발표했다. CES 혁신상은 매년 CES 개막에 앞서 전세계 전자·IT 산업의 방향을 제시할 제품과 기술을 선정해 수여하는 최고 권위의 상이다. 삼성전자는 ▲영상디스플레이 12개 ▲생활가전 4개 ▲모바일 3개 ▲반도체 7개 ▲하만 1개 등 총 27개의 혁신상을 받았다. 특히 영상디스플레이 부문에서는 업계 최고 혁신상 2개를 포함해 2026년형 TV, 모니터 등 신제품과 서비스로만 10개의 상을 휩쓸었다.
생활가전 부문에서는 ‘냉장고 오토 오픈 도어’ 기능 등 사용자의 편의성과 AI 기술을 결합한 혁신으로 4개의 상을 차지했다. 모바일 부문에서는 ‘갤럭시 XR’, ‘갤럭시 Z 폴드7’, ‘갤럭시 워치8’이 혁신상을 받았다. 이중 ‘갤럭시 XR’은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는 3차원 공간에서 음성·시선·제스처로 콘텐츠를 제어할 수 있는 헤드셋 형태의 신개념 기기다. 이 기가는 ‘멀티모달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몰입형 인터페이스가 특징이다. 삼성전자는 “AI가 일상과 업무, 엔터테인먼트를 하나로 잇는 새로운 사용자 경험(UX)을 구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갤럭시 Z 폴드7’은 역대 폴드 시리즈 중 가장 얇고 가벼운 디자인을 구현했다. 2억 화소 카메라와 고성능 칩셋, 갤럭시 AI를 결합해 스마트폰과 태블릿의 경계를 허물었다. ‘갤럭시 워치8’은 웨어러블 최초로 ‘항산화 지수’ 기능을 탑재해 사용자의 식단 및 생활 습관 변화를 수치화했다. ‘갤럭시 워치8’은 구글 웨어 OS 6와 삼성 제미나이 AI를 적용해 음성으로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반도체 부문에서는 양자보안 칩 ‘S3SSE2A’가 사이버보안과 임베디드 기술 두 부문에서 최고혁신상을 포함해 2관왕에 올랐다. 이 칩은 업계 최초로 하드웨어 기반 양자 내성 암호(PQC)를 탑재해 양자컴퓨팅 시대에도 데이터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평가받았다. 또 ‘LPDDR6’ 차세대 모바일 D램, ‘PM9E1’ AI 컴퓨팅 최적화 SSD, ‘Detachable AutoSSD’ 탈부착형 차량용 SSD, ‘ISOCELL HP5’ 0.5㎛ 초미세 픽셀 이미지센서, ‘T7 Resurrected’ 재활용 알루미늄 케이스 포터블 SSD 등이 혁신상을 수상했다.
삼성전자의 오디오 브랜드 하만도 ‘JBL 투어 원 M3 Smart Tx’로 수상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이 제품은 터치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트랜스미터를 통해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이나 노트북, 태블릿의 사운드를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신개념 오버이어 헤드폰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AI,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핵심 기술을 융합해 사용자의 삶을 더욱 편리하고 풍요롭게 만드는 것이 목표”라며 “CES 2026에서는 인간 중심의 혁신 비전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전자는 내년 CES에서 AI, XR, 반도체 등 미래 성장축을 중심으로 한 차세대 제품군을 대거 공개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 초격차를 더욱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