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타임즈뉴스 = 서성미 기자] 서울시가 2027년까지 ‘노량진 재정비촉진지구’ 8개 전 구역의 착공을 완료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전방위 지원에 나선다. 신속통합기획 2.0과 재정비촉진사업 규제혁신이 속도를 내면서 오는 2031년 전 구역이 준공되면 노량진 일대는 1만 세대를 품은 한강변 신흥 주거지로 재탄생할 전망이다.
19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날 노량진6구역을 찾아 공사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지난 10여년간 지연된 사업이 드디어 속도를 내기 시작했다”며 “나머지 구역도 사업성 문제와 행정 절차를 신속히 해결해 착공을 하루라도 앞당기겠다”고 밝혔다. 이어 국토교통부와 마련한 국장급 소통 창구의 첫 회의가 20일 열린다며 “주민 요구를 직접 듣고 국토부에 전달하겠다”고 말했다.
노량진 재촉지구는 2003년 2차 뉴타운으로 지정된 이후 2012년 뉴타운 출구전략에도 단 한 곳의 해제 없이 사업이 유지된 보기 드문 사례다. 현재 6·8구역은 착공했고, 2구역은 내달 착공 예정이다. 4·5·7구역은 이주·해체 단계, 1·3구역은 관리처분계획 단계에 있다.
서울시는 최근 공사비 상승으로 인한 시공사와의 갈등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필요 시 ‘정비사업 코디네이터’를 투입해 분쟁을 조기 해소할 방침이다. 실제로 6·8구역은 코디네이터 중재로 착공 전 갈등을 해결한 바 있다.
또 규제혁신 적용으로 용적률 상향이 가능해진 1·3·4구역의 공정도 면밀히 관리한다. 특히 4구역은 도시재정비위원회 경관변경 심의 간소화의 첫 적용 사례로, 한 달 이상 사업 기간을 단축했다. 앞으로 기준용적률 10% 추가 상향, 법적상한용적률 1.2배 확대가 적용돼 사업성은 더욱 개선된다.
신속통합기획 2.0을 통한 인허가 간소화로 전체 사업 기간도 약 6.5년 줄어들 전망이다. 시는 국토부와 함께 민간 정비사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규제 완화를 지속 협의하고, 10·15 부동산 대책 이후 제기된 우려 해소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노량진 재촉지구는 한강벨트 19만8000호 공급의 신호탄”이라며 “선호도가 높은 한강변 공급 확대로 시장 안정 효과가 기대된다”고 말했다. 한편 오 시장은 "최근 4년간 84개 구역에서 7만 가구가 착공됐고, 내년 2만3000가구, 2027년 3만4000가구가 착공될 예정"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