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9 (수)

  • 맑음동두천 5.0℃
  • 맑음강릉 9.3℃
  • 맑음서울 6.3℃
  • 맑음대전 6.8℃
  • 맑음대구 8.8℃
  • 맑음울산 8.1℃
  • 구름많음광주 8.1℃
  • 맑음부산 9.3℃
  • 흐림고창 7.3℃
  • 구름많음제주 10.4℃
  • 맑음강화 3.8℃
  • 맑음보은 5.9℃
  • 맑음금산 6.8℃
  • 맑음강진군 8.7℃
  • 맑음경주시 7.3℃
  • 맑음거제 6.2℃
기상청 제공
메뉴

두나무 업비트 ‘D-CON 2025’ 성료… K-디지털자산 비전 제시

여야·산학 전문가 한자리
규제 넘어 생태계·인프라 중심 전략 논의
디지털 금융의 신성장동력 모색…글로벌 경쟁력 확보 해법 제시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의 미래 전략을 논의하는 정책 콘퍼런스 ‘D-CON 2025’가 성황리에 마무리됐다.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는 19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앰배서더 호텔에서 ‘Next 대한민국, K-디지털자산’을 주제로 한 이번 행사를 열고, 글로벌 패권 경쟁 속에서 한국이 나아갈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고 밝혔다.

 

올해로 3회째를 맞은 D-CON은 ▲새로운 정치 세대의 디지털자산 논의 ▲K-신드롬의 확장 가능성 ▲글로벌 금융 생태계 변화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됐다. 여야 국회의원들이 축사를 전하며 행사의 의미를 더했다. 또 산·학·정계 전문가들이 국내 디지털자산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책적·제도적 해법도 제시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김재섭·천하람·황정아 의원과 김형년 두나무 부회장이 특별 대담을 진행했다. 패널들은 글로벌 패권 경쟁 속 금융혁신 중요성을 강조하며, 한국이 디지털자산 파생상품 제도화, 기관투자자 활성화, 이용자 보호 강화 등을 통해 신뢰받는 시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국내에서도 코인베이스와 같은 글로벌 기업 육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주목받았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류혁선 카이스트 교수가 ‘K-Crypto 신드롬’ 전략을 제시했다. 그는 “K-팝의 성공처럼 정부가 인프라를 제공하고 시장이 성장하도록 지원하는 방식이 필요하다”며 규제 중심 정책을 국제 호환 규제 및 생태계 구축 중심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한국 디지털자산 규제가 글로벌 스탠더드와 괴리돼 있다며, 이를 국제 경쟁력 기반 구조로 재편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세 번째 세션에서는 박정호 명지대 교수가 “저성장 국면에서 디지털 금융·디지털자산 산업은 필수적 성장동력”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글로벌 전환 가속화 속에서 금융 혁신의 필요성과 제도 정비 시급성을 강조하며, 환율 방어와 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디지털 금융 육성이 국가적 과제라고 분석했다.

 

오경석 두나무 대표는 개회사에서 “대한민국의 다음 성장 엔진은 디지털자산 산업에서 찾아야 한다”며 “산업 구조 전환의 성공 방정식을 다시 적용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그는 디지털자산이 미래 금융 패권 경쟁의 핵심 축이 되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전략적 접근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에서는 규제 중심에서 인프라·생태계 중심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K-디지털자산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데 폭넓은 공감대가 형성됐다. D-CON 2025는 한국이 디지털 금융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며 디지털자산 논의의 장을 한층 확대했다.


오늘의 포토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