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국내 증시가 사상 처음으로 ‘코스피 4000 시대’를 열었다. 미·중 무역협상 타결 기대와 미국의 금리 인하 가능성, 그리고 글로벌 AI 투자 열풍이 맞물리며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폭발했다. 반도체와 조선, 증권 등 주요 업종이 일제히 강세를 보이면서 시장은 그야말로 축제 분위기다. 27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01.24포인트(2.57%) 오른 4042.83으로 마감했다. 이는 지난 6월 20일 3000선을 넘어선지 약 4개월 만에 4000선을 돌파한 기록이다. 지수는 장 초반 3999.79로 출발해 상승 폭을 키우며 마감 직전 4040선을 돌파, 종가 기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 상승을 견인한 주체는 외국인과 기관이었다. 외국인은 6478억원, 기관은 2341억원을 각각 순매수했다. 반면 개인은 7945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특히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코스피 4000 시대’를 견인했다. 삼성전자는 전일 대비 3.24% 오른 10만2000원으로 장을 마치며 ‘10만전자’에 안착했다. SK하이닉스도 4.9% 상승한 53만원대를 기록했다. 이날은 공교롭게도 이재
 
								[서울타임즈뉴스 = 허성미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삼성생명의 ‘일탈 회계’ 논란에 대해 “국제회계기준(IFRS)에 맞게 정립하겠다는 내부 방침이 이미 마련됐다”고 밝혔다. 금융당국이 그간 미뤄온 삼성생명 회계 처리 문제에 대해 조만간 공식 입장을 내놓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이 원장은 21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김남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위원님 말씀에 공감한다”며 “관련 절차를 거쳐 금감원의 입장을 질의회신 형식으로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날 “삼성생명이 1970~80년대 판매한 유배당보험 159만 건의 보험료로 삼성전자 주식을 대거 매입해 현재 8.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며 “이 지분은 이재용 회장 일가의 삼성전자 지배 구조를 떠받치는 핵심 기둥”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삼성전자 지분 가치는 약 36조원에 이르며, 이 중 최소 3조원은 유배당 계약자에게 배당돼야 할 금액이지만 지급되지 않았다”며 “계약자 대부분이 70~80대 고령층으로, 사망 시 미배당금이 삼성생명 자본으로 귀속될 우려가 있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또한 “삼성생명이 ‘배당 계획이 없으니 자본으로 처리한다’며 회계상 ‘계약자지분조정’ 항목으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 임원진의 세대교체가 본격화되고 있다. 경영 불확실성과 긴축 기조 속에서 임원 숫자는 줄었지만, 1970년대생을 중심으로 한 젊은 리더층이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반면 1960년대생 임원 비중은 처음으로 20% 아래로 떨어졌고, 1980년대생 임원은 처음으로 200명을 넘어섰다. 한국 재계의 ‘세대 대이동’이 가속화되는 모양새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대표 김혜양)가 27일 발표한 ‘2025년 국내 100대 기업 임원 연령대 현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수는 총 7306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7404명보다 98명 감소(1.3%)한 수치다. 이번 조사는 2024년 별도 매출 기준 상위 100개 상장사를 대상으로, 각 기업의 반기보고서에 기재된 사내이사와 미등기임원을 중심으로 이뤄졌다. 사외이사는 제외됐다. 임원 수는 2010년대 초반 6000명대에 머물렀으나 2014년 7212명으로 처음 7000명을 돌파했다. 이후 등락을 반복하다가 2022년(7175명)부터 다시 증가세로 전환, 2023년에는 7404명으로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그러나 올해는 경기 둔화와 불확실성
◇ 부회장 승진 ▲ SK㈜ 부회장단 이형희 부회장 ◇ 사장 승진 ▲ SK㈜ 강동수 담당 사장 ▲ SKC 김종우 사장 ▲ SK에코플랜트 김영식 사장 ▲ SK머티리얼즈 CIC 송창록 사장 ▲ SK이노베이션 E&S 이종수 사장 ▲ SK스퀘어 김정규 사장 ▲ SK AX 김완종 사장 ▲ SK하이닉스 차선용 미래기술연구원장 사장 ▲ SK실트론 정광진 사장 ▲ SK브로드밴드 김성수 사장 ▲ SK수펙스추구협의회 염성진 커뮤니케이션위원장 사장 ◇ 사장 보임 ▲ SK텔레콤 정재헌 사장 ▲ SK텔레콤 통신CIC 한명진 사장 ▲ SK온 이용욱 사장 ▲ SK수펙스추구협의회 윤풍영 담당 사장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LG유플러스(대표 홍범식)가 서버 해킹 정황을 사이버 보안 당국에 신고했다. LG유플러스가 서버 해킹 정황을 신고함에 따라 SK텔레콤·KT·LG유플러스 등 국내 통신3사가 모두 사이버 침해 피해를 입은 셈이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G유플러스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에 서버 해킹 피해 관련 신고서를 제출했다. 이는 지난 7월 KISA가 화이트해커로부터 LG유플러스 내부자 계정 관리 시스템(APPM) 해킹 제보를 받은지 약 3개월 만의 조치다. 앞서 미국 보안전문매체 프랙(Frack)은 해커 집단이 외주 보안업체 시큐어키를 해킹해 확보한 계정 정보로 LG유플러스 내부망에 침투했다고 보도했다. 이들은 8938대의 서버 정보와 4만2256개의 계정, 167명의 직원 정보를 탈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LG유플러스는 자체 점검을 진행한 뒤 “사이버 침해 정황이 발견되지 않았다”며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보고했다. 하지만 이후 국정감사에서 회사가 APPM 관련 서버의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거나 서버를 물리적으로 폐기해 흔적을 없애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앞서 이해민 조국혁신당 의원은 21일 열린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연일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두 회사의 비(非)오너 임원들 중 주식평가액이 10억원을 넘는 인원이 30명을 훌쩍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불과 5개월 전인 지난 5월 조사 때보다 세 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와 AI(인공지능) 투자 열풍이 맞물리면서 임원들의 주식가치도 함께 뛰었다. 한국CXO연구소는 26일 ‘2025년 10월 24일 기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비오너 임원 주식평가액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양사 반기보고서에 등재된 등기 및 미등기 임원이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보유주식 현황과 해당일 종가를 기준으로 평가액을 산출했다. 분석 결과, 24일 기준 주식재산 10억 원을 넘긴 비오너 임원은 총 31명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에서 17명, SK하이닉스에서 14명이었다. 지난 5월에는 각각 8명, 1명에 그쳤던 만큼 불과 5개월 만에 3배 이상 증가한 셈이다. 주식가치 1위는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 차지했다. 노 사장은 삼성전자 주식 5만 679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종가(9만 8800원) 기준으로 평가액은 50억 708만 원에 달했다.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HMM(대표이사 최원혁)은 한화파워시스템, 한화오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등 한화그룹 4개 계열사, KR(한국선급) 등과 ‘차세대 무탄소 추진 체계 공동개발 위한 기술협력 MOU’를 체결했다고 23일 밝혔다. ‘차세대 무탄소 추진체계’는 암모니아 가스터빈(GT)과 연료전지를 통해 만들어낸 전력으로 선박을 운항하는 시스템이다. 암모니아 가스터빈은 무탄소 연료인 암모니아를 연소해 전력을 생산하며, 연료전지는 산소와 수소가 결합하는 화학반응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기에 탄소를 전혀 배출하지 않는다. 참여사들은 중소형 컨테이너선 운항에 적합한 시스템 개발, 더 나아가 무탄소 추진체계를 활용한 새로운 개념의 선박 개발까지 공동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한화그룹은 암모니아 가스터빈, 연료전지 등 추진체계 개발을 진행하고, HMM은 선박 운항 경험을 바탕으로 실증을 수행한다. KR은 안전성 검토, 규제 요건 자문 등 국제 인증 취득을 위한 협력을 이어갈 예정이다. HMM은 갈수록 강화되는 해운 분야의 환경 규제에 적극 대응하고 있다. 지난 해, 글로벌 목표라고 할 수 있는 2050년 탄소중립을 2045년에 조기 달성하겠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삼성그룹이 고(故) 이건희 선대회장의 5주기를 맞아 고인의 경영철학과 사회공헌의 의미를 되새겼다. 추도식은 24일 오전 경기도 수원 가족 선영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 삼성가 유족과 전·현직 경영진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엄수됐다. 이날 추도식에는 홍라희 삼성미술관 리움 명예관장,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이부진 호텔신라 사장,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 김재열 삼성글로벌리서치 사장 등 유족이 참석했으며, 전영현 삼성전자 부회장, 오세철 삼성물산 사장, 홍원학 삼성생명 사장 등 관계사 주요 경영진도 함께했다. 추도식 후에는 용인 삼성인력개발원에서 사장단 오찬이 이어져 고인의 업적을 기리고, 삼성의 미래 경영 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5주기를 맞아 고(故) 이건희 회장이 남긴 ‘KH 유산(Kun-Hee Legacy)’의 가치도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유족은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2021년 2만3,000여점의 미술품과 문화재를 국가기관에 기증하고, 감염병 극복과 소아암·희귀질환 지원을 위해 1조원에 달하는 의료기부를 단행했다. 이건희 컬렉션은 국내 미술계의 패러다임을 바꾼 기증으로 평가받는다. 국보 14건과 보물 46건을 포함한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삼성전자가 새로운 AI 경험을 제공하는 헤드셋 형태의 모바일 기기 '갤럭시 XR'을 22일 국내 출시한다. ‘갤럭시 XR'은 삼성전자와 구글, 퀄컴이 공동 개발한 '안드로이드 XR(Android XR)' 플랫폼을 최초로 탑재한 제품이다. 사용자는 '갤럭시 XR'을 통해 물리적 제한없이 확장된 3차원의 공간에서 음성, 시선, 제스처 등으로 콘텐츠와 자연스럽고 직관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다. '멀티모달 AI'에 최적화된 새로운 폼팩터인 '갤럭시 XR'은 사용자에게 더욱 깊이있는 몰입형 경험을 선사하고, 정보를 탐색하거나 엔터테인먼트를 감상하는데 있어 새로운 방식을 제안한다. 삼성전자 MX사업부 COO 최원준 사장은 "'갤럭시 XR'은 새로운 모바일 생태계를 구축할 것"이라며, "안드로이드 XR을 기반으로 '갤럭시 XR'은 모바일 AI 비전을 무한한 가능성의 영역으로 한층 끌어올리며, 업계와 사용자 모두에게 일상의 기기로 거듭날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모바일 AI 혁신을 주도해온 삼성전자는 '갤럭시 XR'을 통해 멀티모달 AI의 가능성을 확장한다. 멀티모달 AI는 텍스트, 이미지뿐만 아니라 음성, 영상 등 다양한 유형의 정보
 
								[서울타임즈뉴스 = 최남주 기자] HD현대 정기선호(號)가 출항후 첫 계열사 임원 승진 인사를 단행했다. HD현대가 24일 부사장 승진 7명, 전무 승진 20명, 상무 신규 선임 53명 등 총 80명을 승진 임명하는 내용의 임원 인사를 단행했다. 이번 인사는 지난 17일 사장단 인사에 이은 후속 임원 인사다. 이날 인사에서 HD현대중공업 류홍렬 전무 등 7명이 부사장으로, HD현대사이트솔루션 정창화 상무 등 20명이 전무로 각각 승진했다. 또 HD현대오일뱅크 장용준 수석 등 53명이 상무로 신규 선임됐다. HD현대 관계자는 “그룹 전반의 사업 조정과 대내외적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신속한 조직 안정화를 추구하는 동시에 미국 등 해외사업 확대를 위해 실행력과 전문성이 검증된 인재들을 중용했다”고 밝혔다. HD현대는 임원인사에 이어 12월 초 전 계열사 사장단이 참여하는 ‘2026년 경영계획 전략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HD현대는 이를 통해 내년도 사업계획과 구체적인 실행 로드맵을 확정, 그룹의 미래전략 추진을 가속화해 나갈 방침이다. 한편 이날 단행한 HD현대 임원 인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인사] HD현대그룹 ▶ HD한국조선해양 ◯ 전무 : 박준수, 박명식,